Korean propriety for a network society in Kookmin Daily News (in Korean)

Here is my article on Korean propriety for a network society in Korean in Kookmin Daily News

국민일보   2012년 03월 05일

네트워크 시대 열어갈 한국 禮學”

하버드대에서 한국 고전문학을 공부했을 때 조선시대의 문학가들인 김만중 박지원 정약용의 글을 좀 읽어봤다. 그 글에 ‘예학(禮學)’이라는 학문에 대한 언급이 참 많았다.

한국의 예학은 단지 관혼상제(冠婚葬祭)의 사례가 모이는 것보다 사회질서를 평화로운 수단으로 유지하는 헌법에 가까운 성격의 제도라는 느낌이 들었다. 현대적인 인간과 인간 사이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보이기에 매우 신선했다.

우리는 이른바 네트워크 시대에 살고 있다. 네트워크 속에서 개인으로 구성되는 복잡한 관계가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시대다. 이런 관계는 페이스북이나 다른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이뤄지지만 사실 우리는 그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지도 못하는 실정이다.

사람 사이의 관계는 현저하게 다른 사회적 배경에서도 이뤄지고 때로는 조직의 위상 측면에서 보면 서로 다른 수준에서도 이뤄지고 있으며 이런 관계는 조직 관리나 운영, 정책에 심대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고도의 영향력이나 행위, 정보 교환의 범위를 규제하는 법적 수단은 없다. 큰 틀에서 볼 때 제도적으로 이런 문제들을 다루기 위한 진정한 대책은 없다. 개인의 명성이나 삶은 미디어나 각종 비방행위에 노출되기 쉽고 그것은 참담한 손실을 불러온다. 또한 블로그나 트위터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가해지는 유해한 행위도 법률의 테두리를 벗어나 있다.

이른바 네트워크 사회 시대에서 도덕적 행동을 권장하게 만드는 체계적인 대책이 절박한 상황인 것이다. 그 대책은 처벌 중심의 법적 제재보다는 자발적 교정을 유도하는 접근법이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한국의 풍부한 지적 전통 가운데 예학은 현대의 딜레마에 대해 완벽한 해법을 제공해 준다.

한국에서 복잡한 규칙으로 구성된 예학은 적절한 행동을 위한 학습으로 발전됐다. 이것은 가족이나 사회에서 발생하는 각종 분쟁을 평화적이고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중국에서 얻은 전례를 바탕으로 17세기나 18세기 한국은 예학이라고 알려진 독특한 형태의 학문 분야를 발전시켰다.

예학은 어떻게 하면 가족이나 소속된 조직, 정부 또는 국가 내에서 불편한 법에 의지하지 않고 예의 바르게 행동할 수 있는지를 제시했다. 예학은 개인의 윤리에 대한 협력과 엄격한 규칙을 통해 집단 간 갈등에 대한 해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학은 처벌 요소를 갖고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예학은 네트워크 사회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하는데 있어 법률에 비해 잠재적으로 더 많은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예학을 헌법과 비교해 보자. 예학은 학자들이 담당한다. 학자들은 사람들이 서로 어떻게 접촉해야 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사람들 간에 조화를 권장하기 위해 유지돼야 하는 공간을 연구한다. 헌법이나 각종 법률은 법률가가 담당한다. 법률가는 어떤 행동이 규범을 어겼는지를 조사한다. 규범 위반은 처벌을 수반한다.

그런데 후자의 경우는 구조적인 결함이 있다. 날이 갈수록 유동적인 성격이 강해지는 인터넷 시대에서 법률이 달성할 수 있는 부분이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반면에 예학은 거버넌스, 즉 조직운용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예학에서 제시되는 규칙은 인간만이 아니라 아바타나 심지어 사이보그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왜냐하면 예학은 사람인가 아닌가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무엇이 적절한지를 따지기 때문이다.

21세기에서 기술은 국가와 개인을 구분해주는 많은 요소들을 와해시켰고 다양한 관계 속에서 엄청난 유동성을 창출해냈다. 이런 조건에서 예학은 개인 간 관계는 물론 정부기구 간의 문제에 대해서도 많은 잠재적인 규범을 제공할 수 있고, 이것은 우리에게 엄청난 가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만열 경희대 비교문화학 교수

 Link to article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