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thly Archives: May 2013

“The Tremendous Potential of KAIST & Korea” Pastreich Talk at KAIST (June 14, 2013)

“The Tremendous Potential of KAIST & Korea:

Opportunities for Internationals”

Emanuel Pastreich

Director

The Asia Institute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International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KAIST

Daejeon, Korea

Friday, June 14th, 2013

15:00-16:00

KAIST International Center

Multipurpose Hall 

(B/D W2-1, Room 101).


세계의청소년들을완전히변화시킬문화 하버드대흑인졸업생의시각으로본한류

mariesa ricks

 Mariesa Ricks

세계의청소년들을완전히변화시킬문화

하버드대흑인졸업생의시각으로본한류

 

2013년 2월, 나는예상치못한편지를받았다. 하버드대에서공중보건을공부하고있는한젊은여성이었다. 그녀는편지에서그녀의이름이마리사릭스(Mariesa Lee Ricks) 라는것과, 어머니가한국인이라는것, 그리고그녀가품은한국문화를향한깊은관심과동경에대해설명했다. 그녀는오늘날의미디어와통신기술을어떻게사용해야사람들이보다긍정적으로스스로를인식하고청소년들이건강에대해관심을가질수있는지에대해조사하고싶어했다. Read more of this post

Pastreich & Kurzweil at RISE Conference in Seoul

Director Emanuel Pastreich and Ray Kurzweil, author of The Singularity is Now and director of engineering at Google before their keynote speeches at RISE (research, innovation, start-up & employment), a conference held on May 21, 2013 at COEX Korea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3 05 21 COEX pastreich kurzweil

 

Text of Pastreich’s presentation

Constitution of Information proposal

 

The Jangchung Neighborhood

The area near the Dongguk University subway station known as Jangchung-dong includes a remarkable assortment of homes from the 1960s, 1970s and before that sit in a majestic neglected state. A few of the homes have been converted into restaurants but most seem to be in a state of suspended animation awaiting a wrecker’s ball.

 

IMG_5898

 

IMG_5900 Read more of this post

“인천 송도, 이익 중심의 금융에서 공공선에 기반한 금융으로의 전환을 상징하는 녹색기후기금 유치” (뉴스위크)

뉴스위크

2013년 5월 20일 

“새로운 금융질서의 중심지 될까: 인천 송도, 이익 중심의 금융에서 공공선에 기반한 금융으로의 전환을 상징하는 녹색기후기금 유치”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EMANUEL PASTREICH)

 

한국이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녹색기후기금(GCF)을 성공적으로 유치했다. 이번 유치는 금융과 국제관계 분야에서 송도가 차지하는 위상을 재차 보여준다. 유엔이 송도를 선택했다는 사실은 이곳이 혁신을 창조할 만한 잠재력이 있다는 뜻이다. 실제로 송도는 한국 최고의 기술, 국제 비즈니스 감각, 문화적 창의성을 겸비했다.

흥미로운 점은 한국인들이 GCF 유치를 자랑스러워 해야 마땅함에도 불구하고 GCF의 향후 역할에 대한 논의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GCF는 이제 막 출발 단계지만 세계 경제에서 브레튼우즈 체제에 버금갈 정도로 중요한 기관이다.

1994년 빈곤 퇴치를 위해 세계은행이 설립될 때만 해도 기후변화가 인간 문명을 위험에 빠뜨리거나 개발도상국에 심오한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다. 하지만 GCF는 기후변화를 일선에 두는 금융기관이다. 기후변화를 완화하고 개발도상국을 생태 문제에 적응시키는 데 전념하는 국제 기구가 송도에 차려치면 이 도시는 향후 1년 내로 새로운 녹색경제 집합체의 중심지가 될 수 있다. 전례 없는 기후변화의 위협에 맞서 국제적 대응 방안을 형성하는 경제 집합체 말이다.

GCF의 역할이 미국 월가의 몇몇 사람들에게는 미미해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기후변화는 전 세계의 집단적 대응을 요구한다. 한국은 GCF 유치를 넘어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해 GCF의 역할을 명확히 규정하고 확장시켜야 한다. 한국이 아프리카, 남미, 아시아지역 국가와 맺은 끈끈한 유대관계를 보건대 한국은 이 역할을 수행하기에 적절한 위치에 있으며,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사이에서 최고의 ‘중개인’이 되기에 충분하다

한국은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의 대열에 들어선 유일한 사례로 개발도상국들 사이에서 막대한 영광을 누린다. 개발도상국들은 한국의 기반시설, 정부, 기술을 모델로 삼는다. 한국이 현재까지 자신들보다 훨씬 더 발전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한국의 GCF 유치가 흥미진진한 이유는 한국이 가진 혁신에 대한 거대한 잠재력이다. 기후 변화에 대처하려면 인류가 현재까지 가졌던 성장, 화폐, 무역, 안보 등에 대한 가정을 재고해야 한다. Read more of this post

미래창조과학 국제 컨퍼런스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기조연설) 2013년 5월 21일

미래창조과학 국제 컨퍼런스

RISE: Research, Innovation, Start-Up & Employment

COEX

2013년 5월 21일 (화)

기조강연

9:30-11:40 AM

 

과학기술․ICT 연구개발을 통해 산업 발전과

경제성장의 토대를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 비즈니스의출현과 벤처 기업 창업을 촉

진해 고용 확대와국가성장을 실현

 

기조연사 1

 

레이 커즈와일

발명가, 미래학자, 벤처 기업가, 베스트셀러 작가, 구글 엔지니어링 이사

 

ray k

레이 커즈와일은 세계적인 발명가이자 사상가, 미래학자로서, 지난 30년간 그가 수행한 미래 예측에 높은 정확성을 보였다. ≪월스트리트 저널≫과 ≪포브스≫는 각각 커즈와일을 “지칠 줄 모르는 천재”와 “최고의 사고 기계”라 극찬했다. 또한 ≪Inc.≫ 지는 커즈와일을 최고의 첨단 사업가 가운데 하나로 꼽으며 “토마스 에디슨의 적자”라 평했으며 PBS는 “미국을 만든 16명의 혁신가들”중 한 사람으로 선정했다.

그는 우리 시대의 선구적 발명가로, CCD 평판 스캐너와 모든 폰트를 인식하는 광학 문자인식 시스템, 시각장애인용 인쇄물-음성 변환장치, 텍스트-음성 신디사이저, 그랜드 피아노와 오케스트라 협주악기의 음색을 재현할 수 있는 음악 신디사이저, 최초로 상용화된 대용량 어휘 음성인식 시스템 등을 발명했다.

대외 수상 경력으로, 레이 커즈와일은 미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등재되어 있으며, 미국 기술 훈장, 19개의 명예 박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대통령 세 사람에게 상을 받기도 했다. 레이 커즈와일의 저서 7권 중 5권이 미국 전역의 베스트 셀러가 되었고, 그 중 『특이점이 온다』와 최근 저서 『지성을 창조하는 법』은 뉴욕타임즈 베스트 셀러 목록에도 그 이름을 올렸다.

그는 최근 구글 엔지니어링 이사직으로 임명됐다.

 

 

기조연사 2

 이만열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아시아인스티튜트 소장 (경희대학교 국제대학 교수)

lecture on literature

Read more of this post

Emanuel Pastreich & Ray Kurzweil Deliver Keynote Speeches at RISE: Research, Innovation, Start-up and Employment Conference

RISE: Research, Innovation, Start-up and Employment

Korea Science and ICT Conference 2013

COEX, Seoul, Korea

Tuesday, May 21, 2013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Sponsored by

KOSA, AhnLab, SK Telecom, KT, LG U+, Samsung Electronics, KISIA, TTA, RAPA, KAIT, KICA.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Planning will hold the Korea Science and ICT Conference 2013 on the theme of “Research, Innovation, Start-up and Employment” (hereafter “RISE”). The purpose of this Conference is to realize national growth and job expansion by encouraging the establishment of start-ups and ventures, and to lay a foundation for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through research and development in science technology and ICT.

Keynote Speeches

9:30-11:40 AM

 

First Keynote Speech

Ray Kurzweil, Director of Engineering, Google, USA

 ray k

RAY KURZWEIL is one of the world’s leading inventors, thinkers, and futurists, with a thirty-year track record of accurate predictions. Called “the restless genius” by The Wall Street Journal and “the ultimate thinking machine” by Forbes magazine, Kurzweil was selected as one of the top entrepreneurs by Inc. magazine, which described him as the “rightful heir to Thomas Edison.” PBS selected him as one of the “sixteen revolutionaries who made America.” Kurzweil was the principal inventor of the first CCD flat-bed scanner, the first omni-font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the first print-to-speech reading machine for the blind, the first text-to-speech synthesizer, the first music synthesizer capable of recreating the grand piano and other orchestral instruments, and the first commercially marketed large-vocabulary speech recognition. Among Kurzweil’s many honors, he is the recipient of the National Medal of Technology, was inducted into the National Inventors Hall of Fame, holds nineteen honorary Doctorates, and honors from three U.S. presidents. Ray has written seven books, five of which have been national best sellers. The Singularity is Near and Ray’s latest book How to Create a Mind have been New York Times Bestsellers. Ray was recently appointed Director of Engineering at Google.

 

Second Keynote Speech

 

Emanuel Pastreich

Professor, College of International Studies at Kyung Hee University

Director, The Asia Institute

 lecture on literature

Emanuel Pastreich is professor at the College International Studies at Kyung Hee University and director of the Asia Institute in Seoul. His current research is divided between his work on technology and its impact on society and the impact of the Chinese literary tradition in Korea and Japan.

Pastreich founded the Asia Institute in 2007, a think tank that coordinates research between experts in Asia and the rest of the world on the intersection of technology, the environment and international relations. Programs run by The Asia Institute include: the Korea India Business and Technology Initiative (with the Indo-Korea Business and Policy Forum), the Biotechnology Initiative, the Nuclear Power Program, 3E (Environment, Energy, Economy) Program, the Asia Ecocity Coalition (with Ecocity Builders) and the Convergence Technology Program.

 

for registration and further information

 

 

 

“’여성대통령’ 시대의 한국 여성들 사회적 지위는 향상됐지만 아직도 과도한 소비문화에 사로잡혀 있어” (뉴스위크)

뉴스위크

2013년5월20일

“’여성대통령’ 시대의 한국 여성들

사회적 지위는 향상됐지만 아직도 과도한 소비문화에 사로잡혀 있어”

 (원문)

EMANUEL PASTREICH

‘대한민국 첫 여성대통령’ 박근혜 대통령의 당선이 한국에 의미하는 바는 심오하다. 박 대통령 당선 이후 여러 단체에 속한 여성들이 공식 석상에서 망설임 없이 의견을 표명하고 보다 자신감 있게 목소리를 낸다. 여성들은 우체국과 은행에서부터 대학과 대기업에 이르기까지 모든 곳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권위를 상징하는 자리에 임명되지는 않더라도 실무적 차원에서 큰 힘을 행사한다. 여성들의 공헌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종종 국장이라는 직책을 가진 남성 한 명이 컴퓨터 모니터를 들여다 보고 앉아 있는 동안 여러 명의 여성들이 여기 저기 돌아다니며 분주히 일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여성들은 행정 분야에서 중심적 역할을 차지하게 되면 이런 모습도 사라질 것이다.

하지만 내가 이 글을 쓰는 이유는 한국이 이루어 낸 성과를 축하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이런 상황 탓에 몇 가지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시사하기 위해서다. 여성의 새로운 역할 획득을 축하하는 행위로 인해 어린아이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남성들의 심한 정신적 부담을 무시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우리 앞에 펼쳐진 또 하나의 과제를 경시해서는 안 된다.

많은 여성이 지위상승에도 불구하고 집착적으로 물건의 축적을 부추기는 소비문화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소비문화는 여성이 사회적 책임감을 잃게 할 뿐만 아니라, 이런 문화적 타락이 마치 교양의 상징이라도 되는 듯이 여기게 만든다. 여성이 세상을 지배하는 것은 전혀 문제가 될 일이 아니다. 하지만 여성이 자신에 너무 집중한 나머지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면 우리 모두는 이 문제로 인한 심각한 결과를 맞게 될 것이다. Read more of this post

“’강남스타일’을 넘어서려면 한국의 오랜 전통을 알릴 수 있는 콘텐트가 필요하다” (뉴스위크)

뉴스위크

2012년 4월 22일

“’강남스타일’을 넘어서려면

한국의 오랜 전통을 알릴 수 있는 콘텐트가 필요하다”

(원문)

EMANUEL PASTREICH

한국은 놀라운 경제개발을 이룩했지만 대다수 미국인은 아직 한국이 어떤 나라인지 잘 모른다. 필자 같은 40~50대 미국인들은 TV드라마 ‘매시(MASH, 야전 외과병원)’를 통해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확립했다. 한국전쟁 중 의정부의 한 군인병원에서 근무하던 외과의사 및 병원관계자의 모험담을 그린 드라마다. 1972부터 11년간 방영된 ‘매시’는 당시 미국에서 큰 인기였다. 문제는 극중 한국인이 대부분 진실하지만 무지한 농부로 묘사됐다는 점이다. 지식인은 단 한 명도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대다수 미국인에게는 최근에 방송되는 한국의 모습보다 그 드라마 속 이미지가 더 강하게 남아있을 것이다. 이들에게 한국은 난폭한 택시가 가득하고 마닐라와 하노이 못지 않게 길거리가 혼잡한 나라다.

가장 심각한 오해는 한국이 1980년대 기적적인 경제성장을 이루기 전까지 무지한 농부로 가득한 나라였다고 여기는 것이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이런 인식은 미국인에게 한국이 얼마나 발전했는지 설명하는 한국인 때문에 더 굳어졌다. 많은 한국인은 종종 한국이 아무런 배경도 없는 상태에서 50년 만에 IT강국이 된 듯이 이야기하곤 한다. 이런 줄거리가 외국인에게 인상 깊게 들리기는 하겠지만 동시에 한국이 1952년 문화와 교육 측면에서도 열등했다는 인식을 심어준다. 이는 사실이 아니다. 한국은 아주 오랜 학문적, 예술적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1830년대까지는 학문적으로 일본을 앞섰다. 가난에 허덕이던 한국전쟁 당시에도 한국에는 고학력 지식인이 적지 않았다. Read more of this post

”Put the Environment at the Center of the Global Economy: An Argument for the Eco-Currency” (The Hangyoreh, May 14, 2013)

The Hangyoreh

”Put the Environment at the Center of the Global Economy: An Argument for the Eco-Currency”

May 14, 2013

Emanuel Pastreich

The environmental challenges we face today, from spreading deserts to rising oceans compel us to reconsider the conventional concepts of growth and recognize that they cannot be easily reconciled with the dangerous implications of runaway consumption and unlimited development.

Above all we must get away from a speculative economy born of an irrational dependence on finance, which has becoming increasingly unstable as digital technology accelerates and financial transactions take place any objective review. We must return to a stable and long-term economy. In part that process concerns the restoration of regulation on the banking system but also the change must involve the very conception of finance and banking. Finance must be aimed at stable, long-term projects which have relevance for ordinary people. Read more of this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