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thly Archives: November 2013

“‘정보 혁명’의 危機를 직시하자” (조선일보)

조선일보

“‘정보 혁명 危機를 직시하자

2013년 11월 28일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http://premium.chosun.com/site/data/html_dir/2013/11/27/2013112704220.html

 

현재 한국에서는 지난 대선 기간 중 국정원의 댓글 조작에 의한 날조된 정보의 확산에 관한 격렬한 토론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이야기가 어디까지 사실일지 내가 판단할 위치에 있지는 않지만 이러한 정보 조작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기관과 개인은 세계 도처에 존재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누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한 것인지 확인하기 매우 어렵다.

미국도 국가 차원에서 NSA(국가안전보장국)를 통해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정보를 무차별적으로 수집했다는 사실은 전 세계적으로 미국에 대한 극도의 불신을 초래하였다. 정치적 경제적 이득을 위한 미국 정부의 이러한 타국에 대한 승인되지 않은 정보 취득은 국가 간 중대한 분쟁을 일으킬 수도 있다.

그러나 정보 위조와 승인되지 않은 정보 수집을 단지 도덕적 관점에서 다루는 것은 오류일 수 있다. 왜냐하면 정보를 수집하고 위조하는 능력은 기술 발전에 따라서 소위 ‘무어의 법칙’ 속도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보 위조는 이제 너무나 쉬워서 유혹이 된다. 따라서 정보의 승인되지 않은 수집과 위조는 그 행위자에 대한 처벌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고 이러한 정보 오용을 근본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새로운 체계를 만들어 내는 것만이 궁극적 해결책이 될 것이다.

우선 우리는 매우 강력하고 탄탄한 정보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정보 관리 기관은 무엇보다도 정치적 압력으로부터 독립적이어야 하며 정보의 정확성을 그들의 본질적 과제로 삼아야 한다. 아울러 이러한 정보혁명의 위기는 국경이 없는 국제적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할 문제임을 인지해야 한다.

동아시아 국가 중 가장 민주적이며, 문화적 활력과 과학기술을 지닌 대한민국은 정확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국제적 기준을 만들어 낼 충분한 능력 및 자격이 있다. 우리는 무엇보다도 국제적인 ‘정보의 헌법’에 따른 정보 관리 협력 기구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해야만 한다. 그러나 한국이 제시할 국제적 ‘정보의 헌법’ 청사진의 실마리를 스티브 잡스에게서 찾을 수는 없을 것이 Read more of this post

“Tale of Energy Farming” Seminar on November 27 sponsored by Seoul Metropolitan City

“Tale of Energy Farming” Seminar for citizens on November 27 sponsored by Seoul Metropolitan City as part of the “Tale of an Energy Smart City” series at City Hall. This event features short discussions taht are extremely practical about  solar energy and its potential, about “harvesting energy” in the city and the issue of climate change and about green energy. The speakers come from a variety of local NGOs and represent well Mayor Park’s vision. 

event on climate change and urban farming sponsor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친구 결혼식 때문에 한국에 잠깐 들렀다가…” (여성조선 2013년 10월)

“친구 결혼식 때문에 한국에 잠깐 들렀다가…”

여성조선

2013년 10월

 

인터뷰 전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시 교수에게 혹시 단골 찻집이 있냐고 물었다. 잘 아는 곳이 있다며 장충동의 한 찻집을 추천했다. 전통찻집 한가운데 앉아 있는 파란 눈의 꺽다리 교수가 이질적이면서도 잘 어울렸다. 기꺼이 주말을 내준 그와 그렇게 처음 만났다.

페스트라이시 교수는 올해로 한국 생활 18년째에 접어든 ‘베테랑 외국인’이다. 예일대, 도쿄대, 하버드대를 거쳐 현재 경희대학교 국제학부 교수로 있다. 그가 얼마 전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이라는 책을 냈다. 한국말로 된 책으로는 벌써 세 번째다. 지난 두 권의 책과 차이가 있다면, 지정학적 위치에서 현재의 한국을 적나라하게 ‘후벼팠다’는 것. 애정이 있지 않으면 절대로 할 수 없는 말, 외국인의 시각에서 본 한국의 진실 말이다. 그와 유창한 한국말로 한 시간여 대화를 나눴다.

박지원 소설 “스토리텔링이 있어 좋아해”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시 교수의 한국 이름은 이만열이다. 소리 내어 읽어보면 알겠지만, 영어 이름과 가장 유사한 발음의 이름이다. 꽤 오랜 기간 한국에 발붙이고 살면서 그는 한국인보다 더 한국에 정이 들었다.

“이번 책은 기존에 낸 두 권의 책과는 목적이 좀 달라요. 전에는 누구나 읽을 수 있는 내용의 책을 냈다면, 이번엔 덜 대중적일지도 몰라요. 한국인 스스로 자국의 단점을 깨닫고 가능성을 찾아갈 수 있게 만든 책이에요.”

그가 기존에 쓴 책들을 쭉 펼쳐 보였다. 그중 유일하게 영어로 번역된 책 한 권이 눈에 들어왔다.

“연암 박지원 소설을 번역했어요. 18세기 한국 고전문학 중 가장 외국인이 접근하기 쉬운 소설이라 생각했어요. 일단 스토리텔링이 있거든요. 다른 고전소설은 단조로운 면이 있는데, 박지원 소설은 등장인물도 다채롭고 스토리가 재미있어요. 당시로서는 드물게 하층민을 주인공으로 내세웠다는 점도 흥미롭고요.” Read more of this post

“Be Here Now” and the Nature of Political Change

Although there are many who were involved in the debate over the Vietnam War, in many respects Richard Alpert’s book played a central and underestimated role. Perhaps that was the whole point of Alpert’s approach, especially when he assumed the name Ram Dass and became a yogi of sorts. I have gone through a few sections of the book I found on the internet recently and found them of great relevance today.

"Be Here Now"   This classic book by Ram Dass (Richard Alpert) was released in 1971 at the height of political chaos in the United States towards the close of the Vietnam War.

“Be Here Now”
This classic book by Ram Dass (Richard Alpert) was released in 1971 at the height of political chaos in the United States towards the close of the Vietnam War.

This illustration about the seeming conflict between the police and the hippies is of great interest.

Deceptively simple, this description of the duality that underlies all political discourse made a deep impression when I first saw it many years ago.

Deceptively simple, this description of the duality that underlies all political discourse made a deep impression when I first saw it many years ago.

Using Buddhist ideas about duality, Alpert suggests how the two forces we see in front of us feed off of each other. I would not suggest that “Be Here Now” offers a solution, but it does offer much in the way of insight.

 

 

A few more selections:

 

 

56509ce026dad1ad95d89cf8e0deb4bcimages (1)images (2)images (3) images (4)imagestumblr_lfv5wdaCjW1qc01tho1_500다운로드

“将俗语当作文学” 东亚文化(首尔大学) Emanuel Pastreich (贝一明)

“将俗语当作文学

论中国通俗小说的流传  如何扩展韩国和日本的文学范畴  

东亚文化(首尔大学)

2002年 3月

 

通俗小说在日本朝鲜 贝一明

Fukushima Logo: “Fukushima: Our Hometown”

Thinking that it is essential that we imagine what it must be like to live in Fukushima and to make such environmental issues immediate to our daily lives, I made up a logo for “Fukushima: Our Hometown” that I hope can be made into a t-shirt, mug cup and button.

Let me know what you think.

Thanks

Emanuel

fukushima our hometown

The Hanok Village Development in Eunpyeong

I was struck by an advertisement I saw today in the Seoul Metro for the first sales of houses employing a traditional hanok design at the Eunpyeong Hanok Village just north of Seoul, near Bulgwang Station.

Koreans have shunned the use of Hanok design in modern housing for the last seventy years. So this development is a remarkable one indeed.

I wonder how far Koreans will go in embracing traditional architectural motifs in a modern housing developments. I

We look forward to further such developments.

 

Model house at the Hanok Village

Model house at the Hanok Village

Advertisement for the Eunpyong Hanok Village

Advertisement for the Eunpyong Hanok Village

 

 

The Asia Institute and Kyung Hee Cyber University: “Korea’s Potential: Perspectives on Culture, Economics and Technology in this Century” (November 22, 2013)

kyung hee cyber u

AI logo small

“Korea’s Potential:

Perspectives on  Culture, Economics and Technology in this Century”

Date: November 22, 2013
Time: 6:30 PM – 8:00 PM
Location: Kyung Hee University

 

 

John Feffer
Co-Director, Foreign Policy in Focus
Author “North Korea/South Korea”

 

 

Kwon Byong-Hyon
Chairman, Future Forest (NGO)
Former Ambassador to the People’s Republic of Korea

 

Emanuel Pastreich
Professor                                
Kyung Hee University                  
College of International Studies
Director, The Asia Institute

 

 

Ahn Byung-Jin
Vice President
Kyung Hee Cyber University
Moderator

 

This panel brings together three intellectuals deeply involved in the future of East Asia who approach Korea and its relations with Chin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from the perspectives of academics, media and government. The three will discuss the true nature of Korea’s potential to play a critical role in global affairs in our age. What exactly is the Korean Wave and what greater impact can Korea have in the region and the world going forward? Please join us for a remarkable discussion.

 

Date: November 22, 2013

Time: 6:30 PM – 8:00 PM

Location: Kyung Hee University

Room B-105 of College of Human Ecology (Hoegi Campus)

(Building #21 on the map 생활과학대학)

 

# kyunghee map building #21 on this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