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thly Archives: March 2016

“한국의 과거에서 미래를 찾는 문화 개척자, 이진용 ” CIRCLES AND SQUARES

CIRCLES AND SQUARES

2016년 3월 31일 

seoul aesthetic movement tshirts

한국의 과거에서 미래를 찾는 문화 개척자, 이진용 : 서울문화의 의미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10년 전부터 한류 문화는 아시아를 휩쓸기 시작했고, 이에 발맞춰 서울은 과거 어느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던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같은  TV 드라마 ‘대장금’, 싸이의 ‘강남스타일’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한국이라는 나라와 문화 콘텐츠 상용화에 대한 문화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기대했던 문화적 독창성은 위태로운 상황이 되었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서울의 젊은 예술가 이진용 씨는 그동안 한국이 가지고 있는 또 다른 잠재력이 무엇인지 알아내고자 적극적으로 활동해왔습니다. 이진용 씨는 한국의 문화적 탈바꿈을 위해 평생을 바치겠다는 자신의 신념에 공감하는 사람들을 찾아 함께 하는 길을 걸어 왔습니다.  이같은 탈바꿈은 한국의 전통으로 쉽게 떠올려지는 ‘급격한 산업화’ 라는 따분한 주제에서 벗어나야 가능할 것입니다.

이진용 씨는 자신을 “Imagineer” (Image + Pioneer) “상상력+개척자” 라고 부르는데, 이는 한국의 문화적 가치에 대해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생각하는 제한적인 “브랜드화” 개념을 뛰어넘고자 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그는 “문화란 아름다움과 철학과 문학에 관한 것이지, 음료수의 브랜드를 만드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합니다. “새로운 상업적 유행을 좇는 것이 아니라 문명의 변화를 만들어내야 하는 것이지요.”

Jin(seoul)

이진용 씨는 한국, 대만, 그리고 미국에서 자랐고, 일러스트레이션 공부를 위해 로드아일랜드 디자인스쿨(Rhode Island School of Design)에 진학했습니다. 한국의 문화 부흥에 대한 그의 생각은 미술사가인 Pascale Rihouet, 그리고 디지털 매체 비평가인 Richard Gann과 함께 연구할 때부터 싹트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보여주기 식 혁신”이 아닌 진정한 의미의 혁신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물질 문화의 본질을 보기 시작했습니다.

이진용 씨는 한국의 문화 부흥 실현을 위한 첫 번째 단계로, 기존의 문화를 재해석을 언급했고, 이를 신기술의 잠재력과 결합해 누구나 수용할 수 있는 패러다임으로 변화시켰습니다.

yoonseo(cheonggyecheon)

그는 한국이 자동차 강국이기 때문에, 또는 대중음악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문명의 중심이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전통적인 윤리적 가치와 아름다움을 확인함으로써 그 중심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우리가 서로를 낯설게 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의 노력과 문화적 다양성을 창출하는 세계화를 이루고자 하는 바람을 가지고 있다면, “널리 인간을 사랑하는 정신 (홍익인간 정신)”과 “인품을 갖춘 학자의 정신(선비 정신)”과 같은 한국의 전통이야말로 세계인들이 절실하게 보고 싶어하는 것이라는 점을 그는 강조했습니다.

이진용 씨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한국적 생각이란 것이 구시대적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에 한국 사람들이 이것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국인들은 국제적 기준에 맞춰야 한다는 생각에 전통 문화를 가볍게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우리가 정체성을 잃은 것은 아니지만, 한국 문화가 어디에서나 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잃어버린 것이지요.”

yeonkyung(itaewon)

이진용 씨는 한국 문화를 되살리겠다는 원대한 계획을 아시아 인스티튜트와 함께 세우게 되었습니다.

필자가 소장으로 있는 아시아 인스티튜는 서울의 문화를 홍보하고 시민들이 살고 있는 인접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갖도록 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이진용 씨와 함께 시작했습니다. 일전에 저술한  ‘Seoul I’이라는 역사에 대한 책에서 필자는 사람들이 살고 있는 이웃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고유 생태계에 기반한 대전시의 로고가 있는 티셔츠와 머그컵을 디자인 한 바 있습니다.

최근에 아시시인스티튜트에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이진용 씨는  문화적 역사적 주제를 담아 시민들이 살고 있는 서울의 인접 지역과 한국 내 여러 도시들의 로고를 만들었습니다.

또한 근래에는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티셔츠 3개를 출시했고, 조만간 5개 정도의 티셔츠를 이어 선보일 예정입니다.

어떤 티셔츠에는 세련된 한글 서체와 로마 서체로 “Seoul”이라는 글씨가 적혀 있습니다. 또 다른 이태원 홍보 티셔츠에는 삼족오(三足烏)가 그려져 있습니다. 삼족오란 균형과 영생을 상징하는 3각(脚)의 소용돌이 무늬가 있는 다리가 3개인 영조(靈鳥)입니다. 또한 서울 시내를 흐르는 청계천을 한국의 전통 색깔로 표현해 소개하는 티셔츠도 있습니다. 이진용 씨는 이처럼 서울 인접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새롭게 부각시킴으로써 새삼 한국인으로서의 자긍심을 갖고 또한 한국의 문화적 다양성에 대해서도 관심을 보이게 된다고 말합니다. 한국 문화는 김치와 불고기로만 대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시아 인스티튜는 우리가 살고 있는 마을과 이웃에도 고유의 멋이 있다는 것을 알리려 합니다. 유럽에서는 이러한 추세가 이미 자리 잡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아직 생소하기 때문 입니다. 새로운 티셔츠 3종류는 이미 서울 상징에서 판매 중에 있고, 다른 티셔츠들 역시 조만간 선보일 예정 입니다.

아시아 인스티튜트가 여러분의 이웃을 위해 특별한 로고가 인쇄되어 있는 티셔츠를 제작했습니다. 구입을 원하시는 분은 아시아 인스티튜트에  연락해주시면 구매가능합니다.

 

 

Homeless in Seoul

I discovered this home created by a homeless man under and overpass in downtown Seoul. The plight of the homeless in Seoul is constantly on my mind as it becomes an increasingly serious issue.

 

homeless in seoul

“이만열 경희대 교수 ‘갑질은 일제식민지·군대문화 잔재’” (매일경제신문 우리 마음속 10敵 )

매일경제신문

우리 마음속 10敵

 

“이만열 경희대 교수 ‘갑질은 일제식민지·군대문화 잔재’”

2016년 3월 30일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구조적으로 누군가에게 갑질을 하게 마련이다. 본인이 평소 `을`의 설움을 겪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아랫사람을 존중하는 태도를 몸에 지녀야 한다.”

한국에 대한 애착으로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하는 교수`로 알려진 이매뉴얼 패스트리치 (한국명 이만열) 경희대 국제대학 교수가 `갑질의 모순` 을 하루속히 극복해야 한다는 처방을 내놨다.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 저자인 그는 대표적인 지한파 로 통하는 외국인 중 한 명이다.

그는 대한민국 특유의 갑질 문화가 유교문화에 기인했다는 일각의 분석을 일축했다.

패스트리치 교수는 “유교사상이 신분 간 위계질서를 엄격히 하는 데 영향을 미쳤지만, 유교는 윗사람의 윤리·도덕적 책임에 굉장한 가치를 둔다”고 주장했다.

그는 유교사상이 왜곡돼 해석된 것을 `식민지 잔재` 로 설명했다. 일제가 전략적으로 일부 특권층을 만들어내는 동시에 이들과 서민들 간 소통을 단절시켰다는 것이다.

군대문화 역시 갑질 의 뿌리 가운데 하나라고 지적했다. 1960년대 이후 고도성장기에 통했던 군대문화가 전 사회에 도입됐고 기업문화에도 자연스레 스며들었다는 것이다. Read more of this post

「若者たちに挑戦の機会を与えよう」 (中央日報 2016年 3月 28日)

中央日報

「若者たちに挑戦の機会を与えよう」

2016年 3月 28日

 

エマニュエル パストリッチ

 

私は先週、ソウル江南(カンナム)にあるコーヒーショップで数時間を過ごした。文書業務を終わらせ読書もした。そのコーヒーショップは安らかな革の椅子、オークを活用したインテリア、優雅な陶磁器カップに入ったカフェラテなど設備が美しかった。私がいた多くの時間、コーヒーショップのお客さんは私1人だったのでサービスをしてくれる若者と話す機会があった。

彼は考え深く探究心の多い若者だった。対話中、彼は韓国文化について何度も洞察力ある言葉を述べた。適切ではない要請かもしれないと思ったが、私は彼に私のテーブルに座ってしばらく話を交わそうと求めたのだ。

およそ20分ごとに彼を見つめたが若者はカウンターの後ろに座って若干退屈そうな顔でスマートフォンをいじりまわしていた。 Read more of this post

“Wasted potential in a coffee shop” (JoongAng Daily March 28, 2016)

JoongAng Daily

“Wasted potential in a coffee shop”

March 28, 2016

 

Emanuel Pastreich

 

 

I spent a few hours in a coffee shop in Gangnam last week finishing up some paperwork and reading a book. The coffee shop was beautifully appointed with comfortable leather chairs, oak woodwork and the café latte was served to me in a delicate porcelain cup. As I was the only customer in the coffee shop for most of the time, I had a chance to talk with the young man who served me.

A thoughtful young man with an inquisitive mind, he made several remarks about Korean culture that I found quite insightful and I was tempted to ask him to sit down with me at the table for a bit, although I feared that might not be an appropriate request.

In any case, I threw a glance at him every 20 minutes or so and saw him sitting behind the counter looking vaguely bored as he fiddled with his smartphone.

By the time I left the café I felt deeply disturbed by what I witnessed and I have to admit that I no longer feel comfortable drinking coffee at coffee shops as I did before. Here I found an extremely talented young man, a product of Korea’s excellent educational system, who was literate and insightful, but who is working in a position that offers him no opportunities to learn new skills, no chances to work together on a common project with his peers, no chance to learn from a senior employee and no opportunity to offer his ideas as to what innovations can be carried out in the company. Read more of this post

“请给年轻人提供挑战的机会” (中央日报 2016年 3月 26日)

中央日

“请给年轻人提供挑战的机会”

2016年 3月 26

贝一明

 

笔者上周在首尔江南区的一家咖啡店坐了几个小时,在处理完文件业务后还读了书。那家咖啡店使用舒适的皮质椅子、用橡木进行内部装潢、优雅的陶瓷杯子中盛着拿铁咖啡,非常有格调。大部分的时间里都只有笔者一个顾客,因此有了和在咖啡厅担任服务工作的年轻人聊天的机会。

他是一个思想深刻而有求知欲的年轻人。在聊天的过程中,他对于韩国文化发表了许多有见地的观点。虽然可能是不合适的要求,但是笔者还是邀请他同坐相谈。

每隔20分钟笔者观察那位年轻人,他在柜台后边坐着,脸上带着有些无聊的表情玩智能手机。

在咖啡厅里我看到上述场景,因而离开咖啡厅的时候,沉重的心情感到分外难过。与此前不同,坐在咖啡店里喝咖啡不再让我感到舒适。在江南的咖啡店我所发现的是韩国卓越的教育体制的产物——极有才能的年轻人。

尽管他拥有良好的修养和洞察力,但他所从事的工作却不能提供给他学习新技术的机会。没有与公司同事一起做项目的机会,没有向上司学习的机会,也没有为了公司的创新而提出自己观点的机会。

我不禁向自己提问“韩国就是如此对待比黄金、钻石还宝贵的人力资源的吗?”为什么接受了那么长时间的学校教育,为考试熬了那么多夜,在世界上竞争最激烈的教育体制中完成了作文,最终还是在没有特别挑战和收入不佳的不稳定工作上浪费自己的才华?而且韩国不还在过去的几十年间对教育投资了几十亿美元吗?

韩国并不是无事可做。我们应该建设聚集所有市民解决共同问题的社会。市民共同体应建设使用风力和太阳能获得所有能源的可持续发展经济,在发生巨变的时代我们应该建立管理社会的新体制。 Read more of this post

“젊은이들에게 도전의 기회를 주자” (중앙일보)

중앙일보

“젊은이들에게 도전의 기회를 주자”

2016년 3뤌 26일

임마누엘 패스트라이쉬

 

 

나는 지난주 서울 강남에 있는 커피숍에서 몇 시간을 보냈다. 문서 업무를 끝냈고 독서도 했다. 그 커피숍은 편안한 가죽 의자, 오크를 활용한 인테리어, 우아한 도자기 잔에 담긴 카페 라테 등 설비가 아름다웠다. 내가 있었던 대부분의 시간에 커피숍 손님은 나 혼자였기에 서빙을 하는 젊은이와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다.

그는 생각이 깊고 탐구심이 많은 젊은이였다. 대화 중 그는 한국 문화에 대해 여러 번 통찰력 있는 말을 했다. 적절하지 못한 요청일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들었지만 나는 그에게 내 테이블에 앉아 잠시 이야기를 나누자고 청했던 것이다.

한 20분마다 그를 쳐다봤는데 젊은이는 카운터 뒤에 앉아 약간 따분해 보이는 얼굴로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렸다.

카페를 나올 무렵이 됐을 때 나는 그곳에서 목격한 것 때문에 마음이 많이 아팠다. 그전과 달리 나는 커피숍에 앉아 커피를 마시는 게 더 이상 편하지 않게 됐다. 강남 커피숍에서 내가 발견한 것은 한국의 탁월한 교육체제의 산물인 지극히 재능 있는 젊은이였다. Read more of this post

The Real Problem with the enviroment

“I used to think that top environmental problems were biodiversity loss, ecosystem collapse and climate change. I thought that thirty years of good science could address these problems. I was wrong. The top environmental problems are selfishness, greed and apathy, and to deal with these we need a cultural and spiritual transformation. And we scientists don’t know how to do that.”

Gus Speth

Professor at Vermont Law School

Read more of this post

Earth Citizens Organization

I have taken up the cause of the Earth Citizens Organization and I ask that you join with me.
Thank you.
Emanuel
On September 11, 2013, EARTH CITIZENS ORGANIZATION (ECO) was formed to develop leaders committed to making a difference in their lives and communities for a healthier and sustainable world.
47349_2394674_233502_image
Since that date, ECO’s focus has been on providing training and education, developing training facilities, and organizing community events that help people live mindfully and get healthier naturally. Through these actions, ECO desires to catalyze a shift that will change the future of the world to one of peace and sustainability. We call this collaborative effort the Earth Citizen Movement. Our goal is reaching 1% of the world’s population and to help them incorporate Earth Citizenship into their lifestyle and daily choices.

OUR NAME

ECO was named to reflect our belief that we are all citizens of the Earth and share the responsibility to care for the Earth’s well being in every way. Sharing this idea and creating changes in our daily lives is the essence of the Earth Citizen Movement.

ORIGIN

The seed of the Earth Citizen Movement was planted by one person when he started teaching exercise at a public park in South Korea 30 years ago. This person was Ilchi Lee. He believed, and still believes, that hope for a better world lies in awakening the greatness in human nature, and has dedicated his life to helping people harness their brain potential. It was through his dedication and spirit that ECO was created.

Throughout his life, Ilchi Lee has strived to help millions of people worldwide enhance their physical, mental, and spiritual capabilities by learning to control and direct the energy of their brains. He has formed several non-profit and for-profit organizations, authored over 30 books, including New York Times Bestseller “The Call of Sedona,” and organized numerous events to help bring that vision to fruition.

 

OUR FUTURE

ECO plans to expand its education to develop Earth Citizen Leaders by creating an online education system and building Earth Citizens Learning Centers in major cities, including its main campus in Northern Arizona.

Earth Citizen Learning Center in Arizona is an educational center where people can visit, experience and learn all aspects of sustainable living such as healthy eating, natural health, organic farming, sustainable housing, renewable energy and water-recycling. ECO Learning Center will provide training programs targeted towards young leaders of our community.

Please join us Saturday Morning for Earth Hour 8:30-9:30 PM Lights out on Saturday

Please join us for Earth Hour!

 

04060f81a3cf4fa3b8161aedca2ccd92

8:30-9:30 PM Lights out on Saturday

Earth Hour is a worldwide grassroots movement uniting people to protect the planet, and is organised by World Wildlife Fund (WWF).

Engaging a massive mainstream community on a broad range of environmental issues, Earth Hour was famously started as a lights-off event in Sydney, Australia in 2007. Since then it has grown to engage more than 7000 cities and towns worldwide, and the one-hour event continues to remain the key driver of the now larger movement.

What is Earth Hour Blue?
Earth Hour Blue is an all-new digital crowdfunding and crowdsourcing platform for the planet launched in 2014 to capture the power of the crowd and engage people around the world beyond the lights out event. The crowdfunding section of the platform allows participants to financially support and deliver positive, tangible changes to the environment and communities all over the world.
8:30-9:30 AM

Earth Hour

Saturday, March 19, 2016
Hour Blue’s crowdsourcing platform, which will call for people to add their voice to some of the biggest environmental campaigns across the world.

When does Earth Hour take place?
Earth Hour 2016 will be held on Saturday 19 March between 8.30PM and 9.30PM in your local time zone. The event is held worldwide towards the end of March annually, encouraging individuals, communities households and businesses to turn off their non-essential lights for one hour as a symbol for their commitment to the planet.

Emanuel’s comments on Earth Hour

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