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하버드 박사 이만열 교수의 대한국 표류기” (21세기북스)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하버드 박사 이만열 교수의 대한국 표류기

21세기북스

2016년 5월

이만열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_표지_평면

인생은 속도 아니라 방향이다

목차

 

prologue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에서 이만열이 되기까지

 

CHAPTER 01 젓가락질 잘하는 미국 소년

미국 선비, 낯선 한국을 만나다

동양 문화의 문을 두드리다

특별한 인연이 맺어준 나라, 한국

솔브릿지 국제대학의 첫 외국인 교수

명문 대학의 품격

 

(임마누엘의 한국 스케치 ― 한국인들의 독특한 반어법)

 

CHAPTER 02 한쿡 사람으로 산다는 것

 

고요한 아침의 나라 한국?

한국 속의 외국인, 세계 속의 한국인

가깝지만 먼, 닮았지만 다른 동아시아의 세 나라

진짜 한국을 발견하는 방법

발효와 비빔밥, 한국이 가진 다양성의 힘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

 

(임마누엘의 한국 스케치 ― 예절과 부권)

 

CHAPTER 03 인문 교육의 부활을 꿈꾸며

 

한국 교육의 현실과 위기

진정한 교육의 의미는 무엇인가?

우리는 자녀에게 무엇을 선물할 것인가?

질문하면서 토론하라

21세기, 인문학은 왜 중요한가?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임마누엘의 한국 스케치 ― 초콜릿과 오랑우탄)

 

CHAPTER 04 임마누엘이 만난 세기의 지성들

 

일본 문학의 대명사 무라카미 하루키

세기의 석학, 시대의 지성 노암 촘스키

역사의 종언 프랜시스 후쿠야마

파란 눈의 동양 철학자 마이클 푸엣

선구적 교육 행정가 헨리 로소브스키

 

(임마누엘의 한국 스케치 ― 불가능한 것을 알면서도 한다)

 

CHAPTER 05 임마누엘이 읽은 고전

 

독서, 낯선 세상의 문을 여는 열쇠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배우는 다산의 선비정신

『열하일기』가 뿌린 북학이란 씨앗

『홍루몽』에 드러난 시대 통찰

아우슈비츠의 비극, 『살아남은 자의 아픔』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