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thly Archives: June 2016

환경운동연합 & 아시아인스티튜트 세미나: “영어로 나누는 환경세미나_초등학생 눈으로 본 강개발 사업”

 

환경운동연합

“영어로 나누는 환경세미나_초등학생 눈으로 본 강개발 사업”

지난 26일(일)에 환경운동연합 2층 열린공간에서는 영어로 나누는 환경세미나 두번째 시간이 진행됐습니다.
이번 주제는 ‘한국의 물환경 문제’ . 환경운동연합 물하천 팀의 신재은 팀장이 “강-개발을 넘어서 회복으로”라는 제목의 발표를 했습니다.

발표의 사이사이에,  그리고 발표를 마친 후에 다양한 질문과 토론이 나왔는데요, 참가자들 가운데 가장 많은 질문을 하고 의견을 발표해서 ‘지니어스’라는 별명을 얻은  Agam Jot Singh 군이 후기를 적어주었습니다. Agam군은, 평화학 박사인 아버지를 따라 2살때부터 한국에 살기시작했으며 지금은 혜화초등학교 4년에 재학중입니다.

KakaoTalk_20160629_084714458-640x360

 

 

제가 이번에 강 개발을 넘어서 회복으로의 대한 세미나를 왔었는데요, 시작했는데요 강 문제의 대한 것은 제가 처음 생각한것인데요, 그래서 강 문제에 대한 것은 저에게는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처음 시작했을때는 19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갔습니다. 현대부터 시작 될 줄 알았는데 강 문제에 대한 것이 이렇게 오래된 이야기인줄은 몰랐습니다. 1900년도 7월에 한강철도가 준공 됐다는 이야기가 처음 나왔는데요, 그런데 당시는 한강다리가 한강철교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저는 사실 그 사실이 정말 신기했어요.

그리고 다음은 1966년으로 가는데요, 거기서는 “불도저시장의 등장”이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세미나에도 이런 말이 나오는구나’ 하고 마음속으로 조금 웃었습니다. 1966년 4월에 박정희 대통령은 김현옥 서울시장을 으로 임명하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1980년대는 한강 종합개발이라는 얘기가 나오는데요, 88올림픽을 준비하면서 한강을 개발한 것인데 주요내용이 강바닥을 깊게 파는 것이랑 댐을 만들어서 깊은 수심을 유지할 수 있게 하였고 그 결과로 배가 다니게 하고 강 옆으로 도시가 계발되었다고 합니다. 근데 이때 저는 지금의 한강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강인 줄 알았는데, 아름다운 강을 그저 배가 지나다닐 수 있도록 자연을 파괴했으니, 정말로 화가 났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이미 충분히 아름다웠는데 더욱 멋지게 만들려고 파괴까지 했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한강 종합개발의 대한 얘기가 또 나왔는데요, 이번에는 저수로 정비사업이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그게 강의 물길을 정형화해 고정시키고 항상 일정한 수심과 강폭을 유지하는 등으로 유람선을 운항할 수 있게 하는등 한강을 ‘물의 공원’으로 조성하였다고 합니다. 저는 일정한 강폭을 유지하는것은 관리를 잘하면 되지 왜 이렇게까지 해야되야 하는거지 하고 궁굼해 햇습니다. 그리고 그것때문에 1987년까지 나왔던 은어, 대농갱이, 꾹저구 ,새쿠미꾸리 등의 어종이 멸종됐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렇게 동물을 죽여서까지 다리를 설치하는게 참 이상했습니다.

그리고 다음 쪽에는 청계천복원에 대하여 나오는데요, 제가 이페이지로 넘어갔을때. 청계천은 원래 이런거 같았는데 이렇게 바뀌어 졌다니 정말 신기했습니다. 다음은 한반도 대운하라는 얘기가 나오는데요, 경부운하,경인운하,호남운하,금강운하둥 여러 운하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낙동강과 남한강을 가로막는 소백산맥의 조령을 뚫어 인천에서 부산까지 이어지는 내륙운송 수로를 3~4년만에 건설한다고 했는데 그것은 한국을 아예 거대한 섬나라로 만들려는 것인 것 같았습니다.

그리고  댐 밀도 세계 1위는 대한민국이라고 합니다. 작은 나라에 어떻게 이렇게 큰 밀도를 보이는지 궁금했습니다. 근데 다음에 더 신기한게 있었습니다. 그것은 높이가 15미터가 넘는 무려 1200개나 되었던 것입니다! 그 사실이 정말 신기했습니다. 근데 그중에 317개의 댐이 지은지 30년이 넘은것입니다! 그 사실을 알고 저는 정말로 이상했습니다. 그걸 왜 철거를 안하는지 말입니다.

더 궁금한점도 많아졌지만 이 세미나로 환경에 대하여 더욱 많이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글: 혜화초등학교 4학년  Agam Jot Singh (아감)

 

 

KakaoTalk_20160629_084713157-640x360

*다음 세미나는 8월20일(토) 오후 5시, 주제는 석탄화력발전소와 미세먼지 문제입니다.

 

 

Conversations with diplomats: “A Diplomat’s Story: My life in the Middle East” (July 9, 2016)

 AI logo smallmin of foreign affairs

The Asia Institut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Conversations with Diplomats

 

“A Diplomat’s Story

My Life in the Middle East”

 

Director Moon Byung-jun

(Director, Middle East Division, MOFA)

July 9, 2016

6:00-7:30 PM

 This seminar is a consideration of Korea’s evolving relations with the nations of the Middle East and its stature as a middle power with considerable cultural appeal in that region. Director Moon will lead an open discussion about what Korea is trying to achieve and while highlighting specific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Director Moon was trained in Middle Eastern studies in Jordan and Great Britain and has served in Egypt, Saudi Arabia, Iraq, Algeria, the United Arab Emirates and Libya.

July 9, 2016

6:00-7:30 PM

@ Anguk WCO (Anguk Building 4th floor)

 

WCO Anguk

 

 

 

“Making Korean smartphones smarter” (JoongAng Daily June 20, 2016)

JoongAng Daily

“Making Korean smartphones smarter”

June 20, 2016

Emanuel Pastreich

 

The craze with smartphones in Korea today reminds me of the glory days for Motorola cellphones when I studied in Tokyo in the late 1980s. I took tremendous pride that America was able to produce the thinnest and most powerful cell phones, ones that could not be matched even by the IT powerhouse Japan.

But Americans were drunk at the time on our success. Motorola started putting more money into marketing and sales, and less into long-term technological development. Moreover, American industry became obsessed with profits and ceased to think carefully about what the future of manufacturing would be.

I worry that Korea will lose control in the smartphone market because firms in China, Vietnam and elsewhere develop cheaper and more sophisticated versions, and because Korean smartphone firms grew inebriated with their current positive image and short-term market share and failed to take the steps required to keep on top.

But the problem goes far deeper. The designs of smartphones in Korea are identical with those made elsewhere in the world. There is no distinctive Korean layout employed in Korean smartphones, or designs and patterns in the form of the phone, or the graphics used within the programs that are based on Korea’s artistic past. If anything, Korea’s smartphone has been developed with the assumption that it should not appear Korean in any sense.

Moreover the production of emoticons and applications for smartphones is essentially cut off from the millions of creative young Koreans who use those phones. High school students cannot easily design emoticons and sell them to each other, or to other young people around the world. College students cannot get easy financing to create new social network programs that can go beyond applications like Facebook in terms of flexibility and creativity, thus allowing our youth to build a robust and dynamic cyberspace throughout the region of East Asia. The production of smartphones themselves has less and less to do with Korea (as factories are built around the world) but the culture that flows through those smartphones should be made by the youth of Korea directly. Read more of this post

<インタビュー>「韓国は教育革新モデルを外国から探すのではなくソンビ精神活かすべき」 中央日報 2016年05月20日

中央日報

<インタビュー>「韓国は教育革新モデルを外国から探すのではなくソンビ精神活かすべき」

2016年05月20日

 

 

エマニュエル・パストリッチ慶煕(キョンヒ)大国際大学院教授(52)は韓国人よりも韓国に対する自負心が強い外国人だ。韓国文化の価値と潜在力を口がすっぱくなるほど力説して回っている。「韓国が一群の経済奇跡を成し遂げた背後には、数千年の間続いた知的伝統がある」という主張も彼の常套句だ。昨年、朴槿恵(パク・クネ)大統領が閣僚会議で言及して話題になった彼の著書『韓国人だけが知らない別の大韓民国』でも、ソンビ(朝鮮時代の学識が高く高尚な人)精神と礼学・風水など私たちの伝統文化の強みを前に出すことをはばからなかった。

18日、ソウル仁寺洞(インサドン)で会った彼は小説家・韓江(ハンガン)のマン・ブッカ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賞受賞の便りを話題に上げた。「韓国文化の多様性と活気に世界が注目するのは当然だ」としながら自身の「先見の明」に満足しているようだった。

--2011年出版した『人生は速度でなく方向だ』の改訂版が出版された。過去5年間、韓国人の意識にはどのような変化があったと考えるか。

「自負心という側面から両極化現象が高まった。『ヘル朝鮮』と言いながら韓国社会を否定的に見て自分を見下す人も多くなったし、伝統文化の再評価をすべきだと主張する人も多くなった」

『人生は…』は、速度に重点を置いて方向を見失った韓国社会の問題を突いた本だ。これを解決する方法として伝統文化の再解釈などを提案している。パストリッチ教授は「韓国教育の革新モデルを別の先進国から探すのではなく伝統教育から探せ。多文化社会に対する解決法も弘益思想など伝統文化にある」と述べた。

--どんな伝統が有効だろうか。

「現韓国教育の最も大きな問題は勉強を手段として考えているところだ。供給者は金儲け道具で、需要者は就職のための資格として考えている。道徳的人生と学問的成就を強調するソンビ精神は韓国の教育体系を再建する重要な要素になりえる。昔、書堂(寺小屋のような学び舎)で千字文を教える時に使った「朗読」教育法も再確認すべきだ。知識を内面化させる一種の体験教育という点で、暗記中心の2次元教育に留まる現システムよりはるかに効果的だ。また、師匠と弟子が一生を通じて縁を持ち続けた伝統も復活させる価値がある」

米国ナッシュビルで生まれたパストリッチ教授はエール大で中文学を、東京大で比較文化学を勉強して中国語と日本語を学んだ。1995年、ハーバード大で東アジア言語文化学博士過程を履修中にソウル大中文学科へ研究生としてやってきて韓国と縁を結んだ。パストリッチ教授は「今後中国が台頭するだろうと考えて83年から中国語の勉強を始め、その後東アジア3国の言語にすべて通じれば東アジア比較文学の真の第一人者になれるだろうと思い戦略的に韓国語の勉強までした」と話した。また、「現在、韓国の学生にはベトナム語とインドネシア語を習っておくことが有益な未来戦略になると思う」とした。

97年、韓国人女性と結婚した彼は韓国式の名前「イ・マンヨル」を好んで使い、韓国語も流ちょうだ。だが、1男1女を韓国で育てながら「多文化家族」の苦衷を肌で体験した。「2007年からずっと韓国に住んでいる。当初は2人の子供たちを韓国の学校に行かせていたが、結局インターナショナルスクールに入れ直した。『米国人か、韓国人か』という質問を絶えず受け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韓国社会への適応は『(韓国人のような)容貌』次第だというのが現実」と皮肉った。

--ずっと「単一民族」を強調した伝統のせいでないか。

「必ずしもそうではない。韓国文化を少し深く勉強してみると普遍性をどれくらい重視したか知ることができる。韓国は国旗にも国家の特殊性を前に出さず、太極のように形而上学的・普遍的意味を込めた国だ。また、高麗時代にすでに多文化の伝統と経験がある」

パストリッチ教授の最近の関心事は「ソウル」だ。ソウルの底力と魅力を紹介する本を準備中だ。「今はある国の文化でなく各地域の文化を強調すべき段階」としながら「フランスがプロバンスやノルマンディー地域などを独立的に前に出すように、梨泰院(イテウォン)や清渓川(チョンゲチョン)などの価値を個別に探ってみたい」と話した。

◆エマニュエル・パストリッチ=エール大卒業後、東京大・ハーバード大で修・博士学位を取得した。イリノイ大東アジア言語文化学科教授、ジョージ・ワシントン大歴史学科兼任教授、又松(ウソン)大ソルブリッジ国際経営学部教授を歴任した。韓国海外広報員公式オンライン新聞「Dynamic Korea」首席編集長、駐米韓国大使観広報院理事などを務めた。燕巌(ヨンアム)朴趾源(パク・ジウォン)の小説10冊を英語に翻訳した本(ソウル大出版部出版)も出した。

“한국 스마트폰을 더 똑똑하게 만들자” (중앙일보 2016년 6월 18일)

중앙일보

“한국 스마트폰을 더 똑똑하게 만들자”

2016년 6월 18일

 

임마누엘 패스트라이쉬

 

오늘날 한국에서 불고 있는 스마트폰 열풍은 1980년대 말 내가 일본 도쿄에서 공부하고 있을 때 영광스러운 전성기를 구가하던 모토로라를 떠올리게 만든다. 나는 정보기술(IT) 강국 일본마저도 따라올 수 없는 가장 얇고 가장 강력한 휴대전화를 미국이 만든다는 사실에 대해 엄청난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미국 사람들은 당시 성공에 취해 있었다. 모토로라는 장기적인 기술 개발보다는 마케팅과 판매에 더 많은 돈을 투자하기 시작했다. 게다가 미국 산업계는 이윤에 집착하게 됐고 제조업의 미래에 대해 신중히 생각하기를 중단했다.

나는 한국이 스마트폰 시장에서 장악력을 상실하지 않을까 걱정한다. 중국·베트남 등 세계의 다른 곳에서 더 저렴하고 보다 정교한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또 한국의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현재의 긍정적인 이미지나 단기적인 시장 점유율에 안주한다면 정상에 계속 머무는 데 필요한 조치를 취하지 못할 수도 있다.

문제의 뿌리는 생각보다 훨씬 깊다. 한국 스마트폰의 디자인은 세계 다른 곳에서 생산되는 것들과 동일하다. 한국 스마트폰에는 한국만의 독특한 레이아웃·디자인·패턴이 없다. 프로그램에는 한국의 전통 예술에 바탕을 둔 그래픽이 없다. 오히려 한국 스마트폰은 그 어떤 의미에서건 ‘한국적으로 보이면 안 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개발됐다.

게다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수많은 창의적인 한국 젊은이들은 이모티콘과 앱의 생산 과정으로부터 근본적으로 배제돼 있다. 고등학생들은 쉽게 이모티콘을 디자인해 서로서로 혹은 세계 곳곳의 다른 젊은이들과 사고팔 수 없다. 대학생들은 유연성이나 창의성 측면에서 페이스북을 능가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필요한 자금을 쉽게 확보할 수 없다. 자금 문제가 해결되면 우리 젊은이들은 동아시아 전체를 대상으로 탄탄하고 역동적인 사이버공간을 건설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 도처에 공장을 건설했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생산 자체가 점점 한국과는 무관한 일이 돼 가고 있다. 생산은 해외에서 하더라도 스마트폰에서 또 다른 스마트폰으로 흘러가는 문화만은 한국 젊은이들이 직접 만들어야 한다.

제일 중요한 문제는 따로 있다. 우리는 스마트폰을 사고팔 때 스마트폰이 우리 사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생각해봐야 한다. 스마트폰은 엄청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지만 가능성이 현실이 되려면 우리는 건강한 스마트폰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우리 젊은이들이 스마트폰을 서로 중요한 사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우리 시대의 정치·사회·환경·경제 이슈를 다루는 네트워크를 건설하는 도구로 사용한다면 스마트폰은 거대한 자산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젊은이들이 스마트폰으로 비디오 게임을 하고 의미 없는 일에 대해 채팅하며 하루하루 인생을 낭비한다면 18세 이하 사람들에게는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는 게 더 좋을 것이다. 그저 단기적인 이익을 얻기 위해 스마트폰 테크놀로지의 남용이 다음 세대의 창의적인 잠재력을 파괴하도록 방관할 수 없다. 젊은이들에게 의미 있는 교육, 윤리적인 원칙과 공동체 의식을 제공하는 게 스마트폰의 주된 목표가 돼야 한다. 젊은이들이 보다 나은 미래 사이버공간을 건설하는 데 영감을 주기 위해서다. Read more of this post

跨海求真: 哈佛博士论中美未来 (贝一明 银河出版社)

 

跨海求真 银河出版社

跨海求真: 哈佛博士论中美未来

贝一明

银河出版社

2016年 6月 13

 

《跨海求真》作者贝一明教授从中国文化深邃的历史洞见其广阔的未来,他确信中国传统文化的精髓必将成为人类新文明的代表。本书记录了他孜孜不倦锲而不舍学习中文、学习中国文化的求学经历,他对于教育的思考与担忧,他对于消费主义的批判,他对中国青年的忠告与激励,等等,贝教授不仅考虑问题周全,而且直指问题的本质。他相信中国青年将成为未来世界的领导者,为此他提出了诸多诚恳的建议,可谓用心良苦,读来令人感动。

书中对他的求学经历有很好的叙述,简洁、平实、有趣而且动人,个人独特的感悟随处可见。贝教授对于独立思考、不惧权威、有主见的个人品格的培养,对于文学、艺术、哲学的重视以及它们给予人的基本价值的论述十分精彩。

贝教授认为:“成功的教育并非源于天赋或者标新立异的学习方法,而是来自于创造良好的环境,培养动机、不断刺激一个人的内部成长并激发他的学习欲望,最终达到带有策略地学习的目的。”

他认为教育的最佳方式是能够让一个人自发对自我要求更高。他说:“学生应该成为自己的老师,教自己应该如何学习。在学习过程中,被动学习是很糟糕的,而我通过自己的方法便得以避免被动学习。”

贝一明教授现任韩国庆熙大学国际学院教授、亚洲研究所所长,主讲国际关系文化论课程,致力于研究东亚文化和历史的关系。一般来说西方学者擅长逻辑与理性,擅长于欧几里得似的写作方式:从基本原理或基本观点出发演绎出整个高楼大厦。贝一明教授的写作更接近于论语那样直接适用于真实的民众生活的方式,仿佛坐而论道,闪烁着将个人生活与社会生活结合起来的智慧与良知,通俗易懂,同时又有论道的高度与深度,充满了想象力,充满了诗性的灵感与气质,字字句句对普通民众、对人类的未来有着深沉的关切。

以下是贝一明教授《跨海求真》中少量摘录,足以让读者感受到他的真挚以及思想的力量:

我们的时间不够多了,我们需要就人类现状尽快构思出一种新的文明,而中国的社会与文化就是打开这个新文明的钥匙。

我们的大脑会混淆“重要”和“真实”这两个概念,将他们颠倒。很多情况下,由于这种原因,我们所认知的都是主观的作用,而非客观事实。

亚洲不再代表一种在集体主义影响下大量移民到美国寻求成功的文化。美国知识分子普遍认为亚洲文化中缺乏创新或独创性。对我来说,我从克里斯汀身上看到了独特而令人印象深刻的亚洲形象。

真正的解决方案来自新的世界观与价值观。若要做到这一点,则必须让孩子们有能力运用他们的想象力去创造一个新世界的图景、另一种可能性。

教育孩子的根本目标是怎样看待世界,怎样去理解世界上发生的事情,怎样提出更好的方法,而不仅是掌握片面的知识。

我认为真正有才能的人不是那些看书最多的人,也不是那些解数学题最快的人。真正优秀的人是对事物和历史发展有深刻见解的人。

中国梦可以成为一种全新的精神文化,这种文化建立在中国悠久的人与自然和谐相处的哲学传统上,建立在邻里互相关爱和睦相处的人文传统上,建立在以诚信道德为本的经商理念上,建立在保护环境避免浪费的自然观念上。

 

购买

 书评

豆瓣读书

 

 

“하버드대 전 학장이 말하는 훌륭한 대학의 조건” (허핑턴포스트 2016년 6월 14일)

 

허핑턴포스트

“하버드대 전 학장이 말하는 훌륭한 대학의 조건”

2016년 6월 14일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rosovsky

 

 

 

전설적인 하버드대학교 학장 헨리 로소브스키 박사 인터뷰

내가 헨리 로소브스키를 직접 만난 것은 한국에서 강의를 시작한 이후였다. 그러나 이미 여러 교수들로부터 하버드의 위대한 몽상가인 그에 대해 이야기를 들었다.

하버드 역사상 가장 유능한 행정가로 유명한 헨리 로소브스키는 1973~1990년과 1990~1991년에 인문과학대학 학장을 지냈다. 그는 높은 지성과 제도에 대한 강한 충성심, 고상한 가치관에 대한 헌신을 고루 갖춘 인물이다. 무엇보다 편안하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고, 창의력이 풍부하며, 대단히 침착하고 신중하다.

나는 대전 우송대학교에 몸담고 있을 때 그에게 편지를 썼다. 우리 대학 학장으로부터 미국 대학교와 교환 프로그램을 마련하라는 지시를 받았기 때문이었다. 학장은 내게 교환 프로그램을 마련할 방법을 궁리해보라고 하며, 하버드를 권했다. 그때까지 나는 그처럼 불가능하고 어처구니없는 요구를 받아본 적이 없었다. 고등학교에서 작은 지방 대학으로 승격한 지 채 15년이 지나지 않아 한국인에게도 잘 알려지지 않은 우송대학교에서 강의를 하면서 하버드와 교환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했으니 말이다. 하지만 내 편지를 받았을 때 헨리 로소브스키는 내가 맡은 임무를 진지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곧바로 알아차리고, 내가 케임브리지로 돌아가면 만나기로 흔쾌히 승낙했다.

그 후 매사추세츠 주 케임브리지를 방문한 동안 나는 그의 연구실에서 그와 만나기로 약속을 잡았다. 오전 10시 하버드 캠퍼스 중앙에 있는 퀸시 스트리트 17번지 뢰브 하우스에 도착했다. 그곳은 조지안 스타일의 영국풍 건물로 벽에는 19세기 유화들이 걸려 있다. 헨리 로소브스키가 나를 맞이해 2층에 있는 자신의 연구실로 데려갔다. 하버드 야드가 내려다보이는 곳이었다.

Read more of this post

“Korea needs serious debate on environmental issues” (The Korea Times June 13, 2016 )

The Korea Times

June 13, 2016

“Korea needs serious debate on environmental issues”

 

By Kang Hyun-kyung

Rachel Carson’s book “Silent Spring,” though written more than 50 years ago, may still be valuable for Korea today, especially amid the public’s fear of toxic chemicals spurred by the recent humidifier disinfectant scandal.

The 1962 book, which warns of the danger of pesticides, fueled a pros and cons debate about the use of pesticides in the United States and eventually led to the creation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But perhaps another important contribution of the book is the idea that a committed, trusted intellectual can change the direction of society.

In the aftermath of the humidifier disinfectant scandal that killed over 100 Koreans and damaged the respiratory systems of hundreds others, some experts put forth the role of experts in preventing similar incidents. The scandal is made even more unfortunate by the fact that the toxic chemicals involved had already been prohibited in Europe.

Observers point out that the public may not have a full understanding of chemical ingredients, and to educate the public on safe products, easy-to-understand publications about the possible harmful effects of chemicals are needed.

The experts’ opinions raise two important questions. Why is there no meaningful public debate about toxic chemicals in Korea? And why is there no intellectual like Rachel Carson in the country that could lead such a debate?

Emanuel Pastreich, a professor at Kyung Hee University, said a structural barrier hinders a serious debate about environmental issues in Korea, including toxic chemicals. “The whole system here is set up in a way that makes it almost impossible for intellectuals to devote themselves to writing for the general audience,” he said.

He said the commercialized media and publishing industry, along with the limited readership and the narrowly focused environmental movement, is responsible for the absence of such debates.

“Books about the environment are almost sidelined by commercialized media and commercial publishing. There are probably people like Rachel Carson, but their writings are not visible,” he said.”Writing for the media regarding environmental issues is almost suicidal for a professor like me because writing about the environment or environmental issues is not considered to be research by my university. They only count academic journal articles.”

Pastreich is one of the few active environmental contributors in the Korean media. His regular opinion pieces in major media outlets express his concerns about issues such as the desertification of North Korea and the water shortages and dying forests in South Korea.

He cites the way the environmental movement has developed in Korea as another setback. “Even today, education on the environment is not as high as you would think,” said Pastreich, whose experience in the Korean environmental movement includes two years as a board member with a Seoul-based environmental group.

The environmental movement in Korea has its roots in the human rights and democracy movements going back to the 1970s. At the time, many people were fighting for democracy and protesting against the authoritarian Park Chung-hee government. However, few were concerned about the country’s ecosystem partly becaus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ere widely accepted as virtues, and few paid attention to the destructive impact of human activities on the ecosystem. A handful of people who were knowledgeable about the environment teamed up with students and labor unionists to start the pro-democracy movement, focusing on helping workers who were poisoned by toxic chemicals and promoting workers’ rights and safety ahead of other environmental concerns, such as conservation and the ecosystem.

In the early 1990s, environmental groups were officially established in the country, and activists have since expanded their activities to such previously overlooked environmental issues.

“It will be great if someone like Rachel Carson would be working in Korea today,” Pastreich said. “Carson was successful because she was able to write about a relatively complicated subject for the general audience in the 1960s.”

A biologist and naturalist, Carson was a dedicated intellectual who campaigned on several environmental issues, including pesticides and the oceans. In Silent Spring, Carson warned of the long-term harmful effects of prevalent pesticide on the ecosystem and on humans. She also raised th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toxic chemicals and cancer. Prior to Silent Spring, she had already established herself in the field of science, having published article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From 1940 to 1952, she was also the editor-in-chief of U.S. Fish and Wildlife publications, after which she retired from government service to write full time.

Linda Lear, author of the biography “Rachel Carson: Witness for Nature,” describes Carson as a lone, single female who challenged the corporate chemical giants.

According to Lear, Silent Spring was the product of Carson’s fears brought about by the 1945 atomic bombing. She said the book was born out of Carson’s belief that science needed to be regulated and that the public had the right to know what science was doing to the earth.

“She had the ability to synthesize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not only into a form that was readable by the expert but was understandable and even eloquent for the average reader,” Lear said. “When it came to telling the public about the misuse of synthetic pesticides Carson had a huge reputation for telling the truth, for being a voice of reason and scientific accuracy and for caring for the natural world and about human health.”

Lear, a former professor of environmental history, said that Carson had to withstand the withering criticism heaped upon her in a backlash from the chemical industry in the wake of her book’s publication.

“Carson did not expect the hatred and vitriol that came to her from the chemical lobby and the petroleum companies,” Lear said. “Their attack on her was personal and gendered. Before Carson, no one questioned scientists or challenged the idea that they knew best. After Silent Spring, the general public was not so easily written off. And that was one of the reasons the scientific establishment tried to silence her.”

Despite the hostility and criticism hurled against her, Carson told the public what she believed was true and stood up against the chemical industry.

“Carson not only wrote about the damage to the biota and to the human system caused by misused chemicals, she questioned the government’s right to put chemicals into the environment without the public knowing,” Lear said. “She questioned the power of money behind the chemical lobby and their representatives in government, and she insisted that the general public could ask questions of government and science that they had a right to know.”

Lear admired Carson’s courage and determination to stand up against bureaucracy and the chemical lobby. She said she was further motivated to write the Carson’s biography through her personal ties with the naturalist. Lear hails from the same area outside of Pittsburgh, Pennsylvania, where Carson was from. She said Carson’s childhood home was not far from hers, which made her feel an affinity with Carson.

 

What exactly is the crime of the New York Times?

The New York Times is one of the most misleading journals in the world. The New York Times promotes a dishonest neoliberal tale of human affairs aimed at educated readers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They use a very sophisticated approach to journalism in which they employ a vague literary language that flatters the reader by making him or her feel that he is sophisticated because he or she follows its allusions to a shared elite cultural tradition. At the same time, the New York Times presents extremely misleading, or outright dishonest narratives about domestic or foreign policy that sound like they are sophisticated, sympathetic and infinitely progressive in a practical sense. Moreover, the New York Times employs complex algorithms to determine just how much critical journalism they must mix in with the fodder provided by political consulting firms and corporate PR representatives in order to fool the reader into believing that they are actually reading news.

There are very reliable algorithms that allow you to judge just how much solid reporting you have to add in order to get the educated reader to swallow a load of reactionary and self-interested crap. The global media makes wide use of such algorithms, although this process is never discussed.

This process defines the income-generating business of the New York Times. The newspaper takes the agenda dictated by corporations and adds a bit of liberal content to make it more palatable, then feeds it to the readership of lawyers, businessmen, government officials and professors to convince them that totally irrational and reactionary policies are somehow normal.

The sale of newspapers is far less important. You could say the New York times is a public relations company. I do not think it represents the government. The government is as good or bad as the people it is made up of.

흡연 과 폐암 의 캠페인

미세먼지때문에 수 많은 한국사람들 폐암에 걸리는 금일에는 담배 반대 운동이 벌리고 있어요. 담배 자체는 중요 하지만 가장 큰 원인을 무시 하고 이런 캠페인 하면 말이 되나요?

지하털 광고

지하털 광고

 "길거리 흡연" 현수막

“길거리 흡연” 현수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