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thly Archives: October 2017

다른 백년 “문제의 본질을 보지 못하는 한국인들에게 드리는 고언”

다른 백년

“문제의 본질을 보지 못하는

한국인들에게 드리는 고언”

2017년 10월 31일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파시즘적 성향을 가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방한 직전에 우연히 촛불집회 1주년이 지났다. 정치에는 여전히 수동성을 유지하고 있는 미국인들의 현실에 환멸을 느낀 필자는, 미국인의 한명으로서 1년 전 밤마다 광화문에 모여서 박근혜 대통령의 하야를 요구했던 열정적인 군중들에게서 깊은 감명을 받았다. 필자는 집회에 참석하기 위해 멀리서 온 고등학생들과 가졌던 토론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 수세기에 걸쳐 좋은 정부를 추구하며 헌신해왔던 한국인들로부터 영감을 받았다.

이제 1년이 지난 지금 한국인들은 우리 시대의 가장 심각한 문제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측면에서 정부의 투명성을 향한 가장 초보적 단계의 한 걸음을 내디뎠을 뿐임을 인정해야 한다. 우리는 박근혜와 측근들의 부패에 대해 초점을 맞추는 것이 기후변화 및 트럼프 행정부의 무모한 정책으로 인해 야기된 핵전쟁 위협 문제로부터 시민들의 관심과 주의를 분산시키는 수단으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촛불집회의 내러티브 역시 박대통령과 소수 측근들의 부패에 모든 관심을 집중시켰고 보다 큰 문제인 한국 사회 전반에 걸친 제도적 부패로부터 사람들의 관심을 돌리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제도적 부패는 대부분 미국을 추락시키고 있는 타락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사회에서 여기저기 미국식 군국주의 및 극단적 민영화도 보인다.

진보적대통령 셀카 찍으며 대중적 이미지 키우지만

중요한 정부 직책에 임명된 사려 깊은 이들이 있지만 동시에 우리에게는 도널드 트럼프의 인종차별적 발언에 대해 침묵한 채 학생과 셀카 사진을 찍으며 대중적인 이미지를 키우는 ‘진보적’ 대통령이 있다. 한국 대통령은 트럼프가 북한이 국제법에 위반되지 않는 행동과 미국이 수십 년 동안 자행해왔던 것과 같은 죄를 범했다는 구실로 유엔을 북한과의 핵전쟁을 위한 플랫폼으로 이용할 때 언급을 회피하고 있다. 바로 미국 대통령이 유엔에서 유엔 헌장을 위반하는 행위에 대하여 할 말이 없었다.

문 대통령의 인기를 살펴본다면 문제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노무현 대통령이나 지미 카터 대통령의 경우 정부의 구조적인 부패에 대한 책임에 직면하게 되었고 상업 언론들이 사소한 모든 문제들을 샅샅이 들추어냄에 따라 인기가 급락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힘든 싸움을 피하고 가장 위험하고 중요한 문제는 그대로 둔 채 사소한 문제들로 정권 홍보를 한다. 이제 ‘진보’는 아디다스와 같은 브랜드가 되었으며 자신의 목숨을 걸고 추구할 소명이 아니다. Read more of this post

The breakdown of coherence in this moment of overwhelming change

I watched the movie Coherence (2013) tonight with tremendous interest. It relates the tale of four couples who find themselves in a cabin in the woods at the time that a comet passes nearby. The comet disrupts space-time, leading to the creation of multiple versions of each person. The different characters then mix with each other, creating tremendous chaos which only deepens with each moment of choice.

I think that the movie was effective because it was a good representation of the radical fragmentation that is taking place in our own society, and around the world,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are a confusion about information, truth and falsehood. The results from the reproduction and manipulation of information. But not all of that is done by evil people, the shift is more fundamental.

But the confusion is also spiritual and it is also about identity. As things are reproduced so easily and images and words drop in value to be almost worthless, our own identity as humans is called into question. And that is not all. This confusion of replication is taking place precisely at the same time (by accident, or perhaps not) that technology is allowing us to reproduce ourselves and systems of supercomputers are essentially taking over the world.

Oddly, some still cling to this idea that we are looking at a new cold war, or a new world war, but what if it is a conflict between banks of supercomputers around the world, struggling with each other in obscure ways related to currency, current and identity.

We find ourselves in uncharted territory and if the question is what will happen to us, perhaps the most important question of all is: “what do you mean by ‘us?'”

 

Emanuel’s student ID from National Taiwan University

I studied at National Taiwan University 1985-1986 for my junior year abroad as an exchange student in the Department of Chinese. It was a turning point in my life. This is my student ID from that period. Not that only my Chinese name is featured and that I am a waijisheng 外籍生。

 

OLYMPUS DIGITAL CAMERA

 

 

“ 한국인만 몰랐던 더 큰 대한민국” 특강 (경희대 교양학부)

“ 한국인만 몰랐던 더 큰 대한민국”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경희대 국제대학 교수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양학부

11월 1일 수요일

오후 6시

장소: 경희대 서울캠퍼스 청운관 507호

신청방법

신청서 바로가기 https://goo.gl/forms/8PUry8a2LWmDYFkd2

전화 및 이메일 신청 (02-3299-8842, kyoyang@khcu.ac.kr)

– 신청 시 성명, 학번, 연락처 필수 기재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양학부 주최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교수님 특강

< 한국인만 몰랐던 대한민국>

 

교양학부에서는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한국이름 이만열) 경희대 국제대학 교수님을 모시고 <한국인만 몰랐던 더 큰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진행합니다. 임마누엘 교수님은 예일대학교에서 학부를 마치고, 하버드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으셨습니다. 이후 일리노이대학교, 조지워싱턴대학교 등에서 교편을 잡았습니다.

4년 전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이라는 책에서 대한민국의 가능성을 살펴본 임마누엘 교수님이 이번 특강에서는 현재 대한민국의 위기를 진단하고, 나아가 한국인만 몰랐던 대한민국의 잠재력을 일깨워주실 것입니다. 특강 이후에는 교수님의 최신 저서인 『한국인만 몰랐던 더 큰 대한민국』의 사인회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미국의 역주행, 중국의 정주행” 다른 백년

 

다른 백년

“미국의 역주행, 중국의 정주행”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2017년 10월 19일

 

 

한국인들은 미국과 중국의 갈등으로 인해 한국이 군사 동맹국과 가장 중요한 경제 파트너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현 상황에 대한 이런 관점은 정확하지만 문제의 일부일 뿐이다. 실제로 한국은 경제환경과 문명 자체의 미래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에 대한 심오한 선택에 직면해 있다.

최근 열린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 장관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회담은 표면적으로는 곧 있을 예정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베이징 방문에 대한 계획을 마련하고 중국이 북한에 대한 경제적 압박을 어떻게 증대시킬 수 있을지를 논의하는 자리였다. Read more of this post

Emanuel on Xi’s speech at CPC

Interview with Emanuel Pastreich

Director of the Asia Institute

October 18, 2017

CGNT (China Global Network Television)

Asia Today

 

On the 19th Communist Party Congress and President Xi Jinping’s Speech

13:30

 

Mang Mang:

“Of course, Xi Jinping elaborated on Chinese foreign policy towards Asian neighbors. Which issues stood out most to you and do you have any fresh insights?”

Emanuel Pastreich:

“I can tell you what was most striking. President Xi did not criticize any other nations. He did not speak about wars, or even competition. He gave hope and an opportunity for cooperation. He suggested a new vision for the world, for Asia, starting from the One Belt; One Belt Initiative. His proposal was that the ultimate focus was on each nation’s potential

He said that China offered potential models in its past and in its present, but that each country had its unique qualities that also should be respected.

 

And I was most impressed when he said, “the political advancement of mankind,” which suggested an idealism that in many countries has been lost over the last few decades and it is very, very far from “America first.”

Finally I was impressed by his emphasis on science and on scientific inquiry, on addressing poverty and addressing climate change, and on global collaboration which was the original purpose of the World Bank and the United Nations, but we have sometimes lost our way.

 

Host Mang Mang:

“So in order to enhance collaboration there needs to be a decent level of integration. What more can you tell us about Chinese efforts to facilitate greater regional integration in Asia?

 

Emanuel Pastreich:

“Well, of course, China is active all over the place, and increasingly playing a vital role. But we have to see this in context. As an American, myself, originally, the Trump administration’s decision to withdraw from UNESCO, to reduce its participation in the United Nations, in diplomacy and in global governance, in poverty reduction, makes China now the major donor. We are going to see major shifts around the world. And it is inspiring to me, of course I am not a fortune teller and I do not know how things will play out, but this potential for a cooperative world not based on the threat of force or economic domination, in which the needs of poor people and developing countries are properly addressed, that this offers a real potential to us that can be inspiring and I think many people were hoping that he would make some statement like this to give us some sense that there is some potential in what is a very critical and critical and dangerous moment in human history.

11월 1일 임마누엘 “한국인만 몰랐던 더 큰 대한민국”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2017년 11월 1일 수요일

오후 6시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경희대 국제대학 교수

“한국인만 몰랐던 더 큰 대한민국”

 

사회자 :    박상현    (교양학부장, 일본학과 교수)

 

장소:    경희대 서울캠퍼스 청운관 507호

교양학부에서는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한국이름 이만열) 경희대 국제대학 교수님을 모시고 <한국인만 몰랐던 더 큰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진행합니다. 임마누엘 교수님은 예일대학교에서 학부를 마치고, 하버드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으셨습니다. 이후 일리노이대학교, 조지워싱턴대학교 등에서 교편을 잡았습니다.

4년 전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이라는 책에서 대한민국의 가능성을 살펴본 임마누엘 교수님이 이번 특강에서는 현재 대한민국의 위기를 진단하고, 나아가 한국인만 몰랐던 대한민국의 잠재력을 일깨워주실 것입니다. 특강 이후에는 교수님의 최신 저서인 『한국인만 몰랐던 더 큰 대한민국』의 사인회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신청방법

 

교양학부 특강 참석 신청서 작성 후 제출

⇨ 신청서 바로가기 https://goo.gl/forms/8PUry8a2LWmDYFkd2

전화 및 이메일 신청 (02-3299-8842, kyoyang@khcu.ac.kr)

– 신청 시 성명, 학번, 연락처 필수 기재

  1. 특강 후 저자 사인회가 있습니다.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양학부 주최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교수님 특강

< 한국인만 몰랐던 더 큰 대한민국>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양학부

“The Crisis in Korean politics today”  Asia Institute Report

The Crisis in Korean politics today

Asia Institute Report

Emanuel Pastreich

October 13, 2017

 

 

Months of protests by a broad range of citizens groups and countless individuals,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seniors, resulted not only in the impeachment of a president, the launch of a serious investigation of the tragic sinking of the Sewol Ferry, serious charges brought against numerous individuals engaged in influence peddling and fraud and one of the most transparent presidential elections held in any country.

The ethical commitment of ordinary citizens in Korea has made a tremendous difference and the increasingly corrupt politics of ritual and back-room deals has been brought to the attention of the public in a manner that is both shocking and inspiring. At a time when citizens in the United States or Japan lament that they can do nothing to change their government, Korea has displayed that significant change and reform is possible. Korea not only is inspiring other nations not only through cultural productions like music and film, but also through political action and democratic vitality.

But we have not even started to address the real problems. If Korea seizes the opportunity, it can create a new political culture that will make change possible again and which can not only transform political parties, but also transform government itself, as well as corporations and government. We can create a new participatory society in which we do not merely consume products provided by anonymous corporations and lose ourselves in distracting media entertainment and the worship of idols and celebrities, but rather help each other to create a better society. Korea can be a model that will inspire other nations to evolve as societies and move forward. Already, China has reported about the impeachment proceedings with a degree of detail that is unprecedented. Such a move suggests that many in the Chinese government see the Korean model for government reform as a viable model for China. Other nations in Asia, and around the world, are watching Korea very closely.

This new global role for Korea should give all members of the new democracy movement, Democracy 1.7, a new sense of mission. This movement is not simply about chasing corrupt people out of power, but rather about creating a new culture of mutual support, symbiosis, political accountability and ultimately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at will be a model not only for future generations of Koreans, but for the entire world.

To make such a shift in our awareness requires a strong sense of history on the part of all members of the candlelight demonstrations. We are not the first people to make this effort. We follow a tradition that can be traced back to common citizens and intellectuals who strove for good government in the Goryo, and before, back to the efforts of King Sejong to establish a truly participatory government that treated the ideals of the Great Learning and the Doctrine of the Mean not merely as inspiring words to encourage students, but a potential for a government devoted to the needs of ordinary people. In a sense King Sejong took the Confucian classics more seriously than the Chinese did and tried to actually realize the democratic potential hidden within them. Nor did that tradition end there. There were those who fought against the restrictions on secondary sons in the 17th century, who fought against the corruption of Youngjo in the 18th century, who fought against the concentration of power in a handful of families in the 19th century, and also who fought against the Japanese occupation and exploitative economic systems in the 20th century. In fact there many who made tremendous sacrifices in the 1950s, 1960s, and 1970s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for the students to launch the democracy movements of the 1980s. Read more of this post

     외국인의 눈으로 바라본 한국의 정치문화 (아시아인스티튜트 보도서)

아시아인스티튜트 보도서  

  

외국인의 눈으로 바라본 한국의 정치문화

 

2017 10 13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초등학생부터 노인까지, 수많은 시민과 다양한 시민단체가 참여한 시위가 수 개월간 이어진 끝에 대통령 탄핵이 이루어졌다. 세월호 참사 수사가 제대로 시작됐으며,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비리에 연루된 수많은 사람이 기소됐고, 가장 투명했던 선거 중 하나로 기록될 대선을 통해 새로운 대통령이 탄생했다.

분명히 해두자. 이 모든 변화는 깨끗한 나라를 향한 국민의 의지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암암리에 행해진 비밀 거래와 부패한 정치 관행이 밝혀진 과정은 충격적이었지만, 고무적이기도 했다. 미국과 일본 국민이 정부를 변화시킬 힘이 없다고 한탄하는 동안, 한국은 국민의 힘으로 거대한 변화와 개혁이 가능함을 몸소 보여줬다. 가요나 드라마를 비롯한 한류 콘텐트뿐 아니라 정치 운동과 민주주의의 활력을 통해서도 타국에 귀감이 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나 아베 신조, 블라디미르 푸틴 등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주어진 정치권력의 정당성을 부러워할 것이 분명하다. 한국은 아직 진짜 ‘선진국’이 아니라고 폄하하는 사람도 있지만, 한국이 민주주의 국가로서 새로운 위상을 정립했음은 부인할 수 없다. 미국을 비롯한 소위 ‘선진국’ 다수는 무기력에 빠졌다. 무기력은 민주주의를 산 채로 갉아 먹고 공들여 세운 제도를 부패시키고 있다. 한국의 제도는 아직 미성숙할 수 있지만, 변화를 위한 의지가 감지된다. 실질적 변화를 막으려 애쓰는 기업집단의 영향력을 벗어나 정책 구상 및 이행을 추진하는 다양한 주체를 규합하려는 의지도 분명 존재한다.

이 기회를 잡는다면, 한국은 다시 한 번 변화를 이루고 정당을 혁신할 뿐 아니라 정부와 기업 등의 지배구조를 혁신하는 새로운 정치문화를 만들어갈 수 있다. 우리는 대기업이 만든 특색 없는 제품을 소비하고 엔터테인먼트 콘텐트나 미디어에 마음을 뺏기고 아이돌과 연예인에 열광하는데 삶의 에너지를 쏟기 보다 서로를 도우며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참여사회’를 만드는데 노력을 쏟을 수 있다. 한국은 사회가 나아갈 길을 알려주며 다른 국가의 귀감이 될 수 있다. 중국에서는 한국의 이번 탄핵 사태가 유례없을 정도로 자세히 보도했다. 중국 정부가 한국의 정치개혁을 참고할 만한 모델로 보고 있음을 암시한다. 아시아와 세계 각국 또한 한국을 주시하고 있다.

세계 무대에서 한국이 새로운 역할을 부여 받았으므로 한국의 신(新)민주주의 운동에 참여한 시민 또한 사명감을 가져야 한다. 적폐 청산에만 몰두할 게 아니라 함께 어울리며 살아가고 정치인이 책임을 완수하게 만드는 동시에 지속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데 목적을 두어야 한다. 그래야 한국뿐 아니라 전세계에 미래를 제시할 수 있다.

의식의 전환을 이끌기 위해서는 촛불혁명 참가자 모두가 강력한 역사의식을 가져야 한다. 한국에서 놀라운 정치혁명이 있었던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평범한 시민과 지식인이 힘을 합쳐 훌륭한 지배구조를 만들기 위해 힘썼던 전통은 고려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세종대왕 집권기에도 대학∙중용은 학생을 격려하기 위한 이상적 철학에 그치지 않고 국민의 삶을 돌보는 정부를 위한 주요 원칙으로 다루어졌다. 유학 고전의 가르침을 중국인보다 더 깊이 이해하고 받아들여 그 안에 숨은 민주적 이상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한 것이다. 이게 다가 아니다. 17세기에는 서얼제도의 부당함에 맞선 싸움이 있었고, 18세기에는 영조의 실책에 맞선 지성인의 저항이 있었다. 19세기에는 소수 외척의 권력 독점을 막으려는 싸움이 있었고, 20세기에는 일제 식민정부와 경제 착취에 맞선 운동이 있었다. 1950, 60, 70년대에도 수많은 사람이 엄청난 희생을 감수하며 싸움을 계속했다. 덕분에 1980년대 학생들은 민주화 운동을 이끌 수 있었다.

한국의 민주적 전통은 남다르다. 영감을 받을 수 있지만, 동시에 한국이 넘어야 할 큰 산도 눈 똑바로 뜨고 제대로 바라봐야 한다. 막연히 잘 될 거라 생각하지 말고, 청년층이 필요한 이슈를 이해하고 앞으로 할 일을 정하도록 돕기 위한 장기적 노력을 계획에 포함시켜야 한다. 수십 년은 걸릴 것이다. 의욕을 꺾으려고 하는 말이 아니다. 그보다 현실을 직시하고 문제를 극복할 방법에 대해 제안을 하고 싶다.

비슷한 노력이 세계적으로 전개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싸움은 그 결이 다르다. 세종대왕 때부터 1980년대 직선제를 쟁취하기 위한 시위까지, 모든 노력은 결국 한국의 변혁을 위해서였다. 그러나 이번 싸움은 전세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우리가 얼굴을 보지도 못한 많은 사람에게 영감을 줄 수 있다. 18세기 프랑스혁명이 전세계 시민에게 변화를 향한 새로운 열망을 안겨주었듯이, 지금 한국의 변화도 그만큼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우리 각자가

우리의 모든 행동은 민주주의의 역사적 발전과 함께, 개인의 경험을 넘어서는 인간 문명의 세계적 진화라는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다. 우리에게는 소중한 의무가 있으며, 이것이 우리 삶의 모든 순간에 새로운 깊이와 중요성을 더한다. 한국과 세계를 위한 변화는 죄인을 감옥에 넣고 특정 공약을 내세운 정치인을 선출한다고 완성되는 게 아니다. 그보다 우리가 일상에서 서로를 대하는 태도, 사회에 임하는 태도를 변화시켜야 한다. 서로를 착취하고 눈앞의 이익만 생각하게 만드는 건강치 못한 패턴을 우리의 행동으로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Read more of this post

Forced to embrace elements of Christian eschatology against my will!

There are two critical parts of Christian eschatology that I have been forced to accept, against my own will, over the last two decades.

First Christian eschatology assumes a moment of creation, a single instant in which the entire universe was created from nothing. I never liked this idea, and I preferred the more logical Buddhist concept of an eternal universe that is stable and cyclical. But the big bang theory, which holds that there was a single moment of creation, has become the dominant explanation for what we observe to day, and so completely upheld by observations that there really are no challenging theories.

The second assumption of the Christians is that there is an apocalypse, a moment when the world is destroyed and everyone is killed. The Christians suggest that the apocalypse is a result of our sins.

This idea also did not sit well with me. After all, humans have done terrible things to each other for thousands of years and God has never been able to completely wipe out humanity. Certainly what disasters have happened were not the result of our sins.

But that was before it became clear that radical climate change is our future, and it may well wipe us all out. I do not assume that those of faith will survive, but I am certain that climate change is a result of our sins, in a sense all of our sins, although some bear immense responsibly and others much less. The more aware I am made by shifting weather patterns of the final stages of climate change, the more I am certain that the apocalypse is upon us.

I do not, however, have much confidence that anyone will be saved by faith, howe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