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이 바라본 한글의 창의성’ 특강

‘외국인이 바라본 한글의 창의성’

특강

이만열교수님_강의자료_NHM (1)medium

2017년 11월 24일 금요일 오후 4-5:30

국립한글박물관

 

 

24일 오후 4시부터는 제3회 인문학 특강 ‘외국인이 바라본 한글의 창의성’을 개최한다. 강연자는 경희대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교수(한국 이름 이만열)이다. 페스트라이쉬 교수는 2005년 주미한국대사관 자문관으로 활동한 이래 우송대, 경희대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한 연구와 강의 활동을 활발히 해 왔다.

이번 인문학 특강은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교수가 바라보는 한글의 문자적 가치를 살펴보는 자리로 외국인 학자의 눈을 통해 한글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기대를 모은다. 아울러 세종시대의 철학과 사고방식이 우리 사회에 주는 의미에 대해서도 폭넓게 이야기할 예정이다.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교수는 중어중문학 학사 학위(1987년), 비교문화학 석사 학위(1992년), 동아시아언어문화학 박사 학위(1997년)를 취득한 언어문화 연구 전문가다. 대표적인 저서로 ‘세계의 석학들, 한국의 미래를 말하다'(2012년),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2013년), ‘한국인만 몰랐던 더 큰 대한민국'(2017년) 등이 있다. 연암 박지원의 소설을 영문 번역본으로 출간할 정도로 한글 문학에도 관심이 크다. 현재 경희대 국제학부 부교수 겸 아시아 인스티튜트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인문학 특강을 통해 한글과 한글문화를 다양한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한글문화에 대한 공감대를 만들어나가는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 이번 특강은 국립한글박물관 누리집(www.hangeul.go.kr)에서 사전 신청을 통해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http://news1.kr/articles/?3159413)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