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thly Archives: March 2018

“국내외 상황, 조선 말기와 비슷…역사에서 해답”

JTBC 뉴스현장

[직격인터뷰]

이만열

지구경영연구원장 인터뷰

image1 (36)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611516

[김종혁 앵커]

시작하겠습니다. 이 분은 사실 한국인보다 한국의 역사를 더 잘 아는 외국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일대와 동경대, 하버드대에서 동양사를 공부했는데 95년 서울대서 연암 박지원과 다산 정약용을 연구하기 시작한 이후에 ‘실학 사상’에 깊이 빠져 있는 분입니다. 임마누엘 패스트라이쉬 지구경영연구원장. 한국 이름은 이만열인데 오늘(30일) 이 원장과 인터뷰를 해 보겠습니다. 이 원장은 지금 대한민국의 위기를 실학정신으로 돌파하라고 주장해왔는데, 사실 외국인에게 이런 얘기 듣는 게 좀 쑥스럽기는 하지만 어쨌든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원장님 어서 오십시오.

 

“게임•성형수술•성매매 문제도 얘기하자” 중앙일보

중앙일보

“게임•성형수술•성매매 문제도 얘기하자”

2018년 3월 30일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한국에서 달아올랐던 미투운동의 열기가 서서히 가라앉기 시작했다. 지금은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사건 차원을 넘어 평범한 한국 여성들이 겪고 있는 성희롱 및 성적 학대 대응 방법에 대해 의미 있는 논의를 시작할 때다. 이러한 논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최근 한국에서는 이주 여성의 성적 학대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이전에는 이주자들 가운데 특히 불법체류자를 대상으로 자행되고 있는 이 문제가 거의 드러나지 않았다. Read more of this post

“Getting “me too” right in Korea” Korea Times

Korea Times

“Getting “me too” right in Korea”

March 25, 2018

Emanuel Pastreich

 

Now that the dust is starting to settle after the hyped up debut of the “me too” movement in Korea, it is time to move beyond attention-grabbing incidents and start to lay the foundations for a meaningful discussion of how we can respond to the concerns of ordinary women in Korea about sexual harassment and abuse.

On the bright side, there has been an extremely important shift in the debate. For example, programs that highlight the sexual abuse of immigrant women in Korea have been produced recently. This widespread problem for immigrants, especially the undocumented, was previously practically invisible. Read more of this post

“Hold Me Down” and the potential for films about real life

I had the chance to see the both touching an brutal film about a 19-year old single mother who tries to survive in the South Bronx working as a stripper. The film was outstanding, and compact. It raised the critical question of whether it is possible to make films and news reports about real life, rather than fantastic PR material. These days, even the so-called progressive media is touched up to avoid the ugly and the cruel. Yet only with such media will be start to confront the truth and launch into a positive cycle.

“Hold Me Down”  is filmed in the locations where the events depicted actually occurred; in the Mott Haven Housing Projects and in an actual brothel, and features a cast of non-actors / women survivors of sexual exploitation and domestic violence.

Produced by More Media (moremedia.tv), The Collectif, and Bob Film Sweden with support from IFP, the Swedish Film Institute and Sveriges Television.

hold-me-down_fotosteve-annis_810

“휘날리는 성조기 미국은 누구에게 무엇인가”  학술토론회 

 

2018년 5월 26일

2:00-5:00

“휘날리는 성조기 미국은 누구에게 무엇인가”

학술토론회

문정인 교수

대통령 통일외굑 안보특보

“동아시아 전쟁과 평화의 지롓대 미국”


김영희 대기자 중앙일보

“미국의 엔진, 전쟁과 시장”

 


이만열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원장  지구경영연구원

“미국의 진정한 대표와 진정 한 세계질서”


  @  파랗게날 연구공간

경남 거창군 응양면  동호리 835

 

강좌77_문정인김동춘김영희임마누엘,_미국은누구에게무엇인가_(걸개막 150×200) (1)

 

 

 

 

2018년 3월 29일 (목)

저녁 7시

“더 큰대한민국을위한 시민 대토론회”

이만열 (Emanuel Pastreich) 원장

지구경영연구원

정대권 대사

(전 한국 기후변화대사)

@ 서울시립대 자연과학관 1층 강당

 

2018.03.29 더큰대한민국

Read more of this post

“한국 언론의 허튼 소리와 그럴듯한 이미지를 거부하고 진실을 추구하자” 다른 백년

다른 백년

“한국 언론의 허튼 소리와 그럴듯한 이미지를 거부하고 진실을 추구하자”

2018년 3월 21일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한국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이슈들 거의 전부가 한국의 주요 언론으로부터 완전히 외면되거나 피상적이고 하찮게 다루어진다. 이러한 경향은 지난 10년간 점차 심해져서, 이제는 사람들이 언론 보도를 통해 사태의 진상을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한 지경이 되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현재 한국은 (그리고 세계적으로도), 이웃과 지역, 국가와 세계에 관하여 믿음직한 관련 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하는 가장 기본적인 시스템이 완전히 붕괴해 버리는 어마어마한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외국과 국제금융 그리고 보이지 않는 힘이 어떻게 한국을 조종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없다면 작금의 위협에 어떻게 대응해야만 하는지도 결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이는 안보 위기이다. 저널리즘의 붕괴는 민주적 절차의 붕괴를 의미하기도 한다. 실제 정책에 관하여 믿을 만한 정보를 얻을 수 없고, 정치인의 됨됨이나 개인적 스캔들에 대한 선정적 기사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강요된다면, 국민은 의미 있는 투표를 할 수 없다. 주변 사람들과 정책에 관해 신중하게 논의하고 가장 중요한 이슈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시간을 들이는 대신, 한때 시민이었던 사람들을 부추겨 선거 직전에 길거리 댄스나 지켜보며 자기만족을 앞세우게 만들고 일시적 기분과 충동에 휘둘리도록 하는 상황에서, 선거는 요식 행위로 전락한다. Read more of this post

Immigration Policy Committee at Ministry of Justice

Today I was appointed as a member of the Immigration Policy Committee at the Ministry of Justice and had a chance to meet the Minister of Justice, Professor Park Sang-ki.

Here is the certificate that I received today.

image1 (29)

But more interesting indeed was the odd gift I was presented with.

 

Here is the box.

image2 (9)

Wonder what might be inside?

A pen? A USB? A small electronic device?

But no… a bit of Korean humor about immigration policy.

image3 (2)

Much appreciated.

 

 

 

应对东海漏油事件彰显中国大国风范

 

 

应对东海漏油事件彰显中国大国风范

 

贝一明

Emanuel Pastreich

地球治理研究院

院长

 

Circles and Squares

2018320

 

近来我们一直对朝鲜及其核武计划保持着密切的关注。而现在我们或许可以调整工作重心,解决气候变化、环境破坏等真正的长期安全问题——这些问题都是人类在这小小的、宝贵的地球上倚仗自己的优越地位胡作非为而引发的。 Read more of this post

生态货币”——未来生态文明的创新之举

生态货币——未来生态文明的创新之举

 

Circles and Squares

2018321

 

贝一明

Emanuel Pastreich

地球治理研究院

院长

如今加密货币与其他数字货币令普通大众与众多机构投资人趋之若鹜,报纸上满是关于它们的报道。处于风口浪尖的是著名的比特币,仅在2017年一年,其升值幅度便高达1,300%。

人们对这种游离于国家货币政策之外的货币的渴望并不难理解。在美元完全脱离其价值标准之际,这种渴望变得愈加强烈。 Read more of this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