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thly Archives: May 2018

“一份有意义的朝鲜发展计划” 多维新闻

多维新闻

“一份有意义的朝鲜发展计划”

2018年 5月 31日

贝一明

 

 

 

我们必须对朝鲜政府官员报以同情,他们突然面对来自美国科氏工业(Koch Industries)集团或其他地方的华而不实的企业运营者,以华丽的业务展示、诱人的贿赂,竭尽全力让朝鲜官员交出资源钥匙,通过开发资源为那些从不会踏足朝鲜的投资商谋取利益。

这个过程是众所周知的。我们在沙特阿拉伯和其他海湾国家看到过这种情况。先是英国石油公司和标准石油公司(以及后来的其他企业)以财富引诱了一小部分精英群体,构建了一个为了海外投资商和一小撮沙特人而疯狂掠夺自然资源的社会,而国内基础设施却处于严重衰退状态,更别提教育和社会服务了。

朝鲜需要我们帮助,并及时就如何以有意义的方式应对这些挑战提供建议。对朝鲜的掠夺可能会演变为对韩国的掠夺。 Read more of this post

“適切な北朝鮮発展計画” ハフィントンパスト

ハフィントンパスト

“適切な北朝鮮発展計画”

北朝鮮には、私たちの助けが必要である

2018年5月29日

 

エマニュエル・パストリッチ

今後、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北朝鮮)政府官僚たちが直面する苦悩に対して、同情を感じざるを得なくなるであろう。というのも、多国籍エネルギー企業コークインダストリーズ(Koch Industries)をはじめとする、巧みな話術を持つ巨大企業の起業家を突然直面せねばならないからである。これらの企業家は、相手を圧倒しようとして中身のない煌びやかな提案を前面に出し、賄賂を含むあらゆる手段を動員して、北朝鮮の資源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鍵を譲り受け、北朝鮮の地を永遠に踏みもしない投資家の利益のために、北朝鮮を搾取できるようにするであろう。

このような過程は、あまりにもよく知られている。我々は、サウジアラビアと他の湾岸諸国でそのような事例を見てきた。最初は、英国国営石油会社(British Petroleum)が、続いてスタンダード・オイル(Standard Oil)が、その後、別の企業が少数のエリートに対して富を与えてあげると唆し、外国人投資家と一握りにもならないサウジアラビア人たちのために、サウジアラビア天然資源を無慈悲に搾取した。その結果、教育と社会福祉は言うまでもなく、サウジアラビア国内の公共基盤施設も非常に後進的な状態に留まっている。

北朝鮮には、私たちの助けが必要である。私たちはまた、これらのリスクにどのように適切に対応するかについてタイムリーなアドバイスを提供しなければならない。北朝鮮に対する強奪は朝鮮半島全体を相手にする強奪と見なすことができる。 Read more of this post

“The sleepwalkers reach a fork in the road” Korea Times

 

Korea Times

“The sleepwalkers reach a fork in the road”

May 26, 2018

Emanuel Pastreich

When the Trump administration illegally threw away the nuclear agreement with Iran, usurping the authority of congress, not to mention those silly little people called the “citizen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n it went on to openly support the brutal killing of unarmed protesters in Jerusalem with high-powered weapons by Israeli military/police forces, many thought we had hit rock bottom.

But in fact, now that the Federal government has been practically emptied of men and women of any ethical standards, we learn that we are just getting started.

Blaming Trump does not help much of anything. We have a massive institutional collapse taking place which is rendering the United States essentially ungovernable. The group around Donald Trump who are now calling the shots are a priceless collection of extremists, drawn to the sugar daddy like flies. They are not conservatives in any sense of the word. They are essentially psychotic, caring nothing about a future of severe climate change, and or nuclear war, or for that matter about their own children. They are the superrich, or they service the superrich, and they have effectively taken the final step of severing the tie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called international community.
Read more of this post

“From the prison cells of Guantanamo Bay to Embassy in Seoul: Harry Harris, the rise of an American warlord” Korea Times

Korea Times

“From the prison cells of Guantanamo Bay to Embassy in Seoul:

Harry Harris, the rise of an American warlord”

May 21, 2018

Emanuel Pastreich

 

Admiral Harry Harris, commander of the US Pacific Command in Hawaii, was slated to start work as ambassador to Australia this month. Suddenly, out of the blue, the Trump White House announced on April 24 that Harris would be assigned to South Korea.

The assignment was unprecedented at multiple levels. Assigning a military officer as ambassador to Korea when Seoul is trying to develop peaceful ties with North Korea, and the rest of East Asia, is extraordinary. Assigning a military officer who has close ties with the far-right in Japan is also extraordinary, granted the sensitivity about Japan’s colonial domination of Korea.

The fact that Harris was born in Japan to a Japanese mother is not a reason to oppose his appointment. Yet his being awarded the “Order of the Rising Sun” at exactly the same moment he was assigned at ambassador to Korea was extremely odd.

And then there is that matter of his role at the Guantanamo Prison camp at the time that torture and abuse were carried out within a carefully constructed legal limbo. In normal times, Harris’ role in that blatantly illegal operation would be enough to end a career, at the very least.

But these are not normal times.

Many in Australia were less than pleased that this combative and virulently anti-Chinese military officer was appointed to Australia in the first place.

Prime Minister Malcolm Turnbull has been much more willing to collaborate with this confrontational posture towards China than was Tony Abbot, or Kevin Rudd before him. Yet Turnbull is still struggling to keep the opposition even in the conservative business community under control. Read more of this post

“A meaningful plan for North Korea’s development” Korea Times

 

Korea Times

“A meaningful plan for North Korea’s development”

May 27, 2018

Emanuel Pastreich

 

We must feel sympathy for the North Korean government officials suddenly faced with slick corporate operators from Koch Industries, or elsewhere, who come in to overwhelm them with gaudy presentations, to bribe them and to do everything in their power to get them to hand over the keys to their resources so they can be exploited for the benefit of investors who will never step foot in North Korea.

That process is all too well known. We saw it done in the case of Saudi Arabia and other Gulf states in which originally British Petroleum, and then Standard Oil (and later others) seduced a small group of the elite with the allure of riches and created a society in which natural resources are ruthlessly exploited for the sake of foreign investors, and a handful of Saudis, and the domestic infrastructure, let alone education and social services, are left in a state of deep decay.

North Korea will need our help and our timely advice on how to respond to these challenges in a meaningful manner. The possible rape of North Korea can become the rape of Korea.

Needless to say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which has been stripped of all experts on climate change and is engaged in a reckless campaign to deny the very existence of this catastrophe, cannot play a role in that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or social impact, of foreign investment in North Korea. In fact, no corporations, or corporate consulting firms, can play a role because they are all subject to market pressures that force them to distort their findings in the interest of profit.

Here is a suggestion as to what the essential points in a proposal for North Korea’s development might look like. The proposal is so different from what is actually being discussed in government and industry that many readers may perceive it to be fantastic, entirely unrealistic. I hold that it is common for the truth to appear alien and out of place when it suddenly appears on a stage that has been trotted for decades by the deceptive and the duplicitous.

I invite you to take a careful look and to make your own assessment. At the minimum, I hope that Koreans will have the bravery, and the vision, to keep this model on the table as they debate other proposals made by those who are paid lavish salaries by the people who hope to profit from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

What is often forgotten in Seoul is that once the North opens up, North Koreans will become simply Koreans and that South Koreans will be subject to the very same sorts of abuses that North Koreans will be subject to. This is a critical moment to put forth a vision for a better future.

Tentative plan for North Korea’s economic, cultural and political development

The process for making a plan

First, throw away any proposals made by corporations, by consulting firms linked to corporations or by government agencies that have corrupt relations with the corporations that stand to benefit from the exploitation of North Korea’s resources, or of its labor.

We then need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 including a few North and South Koreans, that will provide relevant and helpful advice to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nd to its citizens as it struggles to respond to the coming confusion born of rapid social and economic change.

The advisory committee should be made up of experts from around the world who are known for their high ethical standards and for their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economic and social challenges that North Korea will face. Not one member of this advisory committee should have ties to investment banks or corporations that stand to profit from the exploitation of North Korea’s resources or of the labor of its citizens.

The task of that committee, and for those in North Korea who are involved in the process, will be to draft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 that is focused exclusively on the long-term interests of the country, but does so in accord with scientific principles, without exaggeration or posturing, speaking the truth and presenting a vision for what is possible that is inspiring. The plan should stress that North Korea cannot be successful long-term if it does not avoid short-term fixes that generate income for the few but undermine the livelihoods of its citizens, and that destroy the environment in a manner that will bring terrible costs in the future.

At the center of the plan must be the recognition of two fundamental facts that have been proven through scientific research beyond any doubt, but which are ignored by irresponsible politicians and a sensationalist media to the determent of all of humanity. First, that the greatest threat facing humanity is climate change, which is impacting North Korea primarily in the form of spreading arid land (and eventually deserts) and rising temperatures that affect agricultural production. The response to climate change must be a core concern in any program for development.

Second, that the concentration of wealth in the hands of a few people has done tremendous damage to the social fabric of Asia and that it has undermined a healthy society for all of us. Any plan for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 must promote profoundly different economic paradigms that encourage development starting at the local level and which assure that capital is used for the benefit of ordinary citizens. Addressing the problem of the concentration of wealth, and the abuse of finance by the few is critical because the world is poised on the edge of a massive financial collapse. North Korea must avoid, at all costs, getting itself into heavy debt during the first stage of its development because there is a high risk that foreign firms that move in to make short-term profits will pull out of North Korea quickly, with no warning.

Natural resources

There is tremendous interest from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 North Korea. That interest has nothing to do with the human rights of North Koreans or the poverty that affects so many. Rather, investment banks are drawn in by the potential profits to be derived from the exploitation of the extensive deposits of coal, uranium, iron, gold, magnesite, zinc, copper, limestone and rare-earth metals (required in the electronics industry now thriving in the region) that lie beneath the surface in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South Korean mining company Korea Resources, the value of those resources are around $6 trillion.

North Korea is a poor country and its government officials lack the expertise to judg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exploitation of resources, or its social and economic impact. Underpaid government officials can be easily seduced by shows of opulence, or outright bribery, into making decisions that future generations will regret.

An unconditional freeze should be placed on the exploitation of any mineral resources in North Korea until Pyongyang possesses sufficient expertise to assess the long-term impact of the development of natural resources on its own, or with the help of disinterested, ethical international advisers. All proposals for mining of resources must be subject to extensive environmental impact studies conducted by true experts. Strip mining for uranium, coal and other resources, which destroys the far more precious soil and causes irreversible damage, should be prohibited.

What to do with the massive reserves of coal found in North Korea is a far greater challenge for us than the dismantlement of its nuclear program. The overwhelming evidence from scientific research is that the use of coal use has a catastrophic impact on the climate and that if we continue to use coal (and petroleum) we will make our Earth uninhabitable in the next 30 years. The best policy is for North Korea simply to leave the coal in the ground untouched.

Those who hope to make profits off of the sale of coal think about this issue differently, and they offer the only opinion that is presented in the mainstream media, or discussed by business leaders, or by politicians. But what the majority of people believe based on misleading, or false, information is not of any relevance. The only relevant point is the truth, and if the truth is accessible to the people, in North or South Korea, the conclusion will be clear.

The development of natural resources in North Korea should be eventually managed by regulated national monopolies that have no profit incentive and that are entirely capable of ending operations if the resources that they develop are judged through scientific investigatio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or on society. The profits for the exploitation of mineral resources should be focused entirely on the development of the North Korean economy in terms of investments in education, improved governance, and welfare. Above all, developing a new generation of educated and motivated North Korean government officials who have the knowledge, the ethical principles and the bravery to stand up for the long-term needs of citizens will be critical for future development.

The negative impact of the development of natural resources is not limited to pollution. The sudden influx of wealth is often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the power elites and does little to benefit the vast majority of citizens. We need only look at the process by which British Petroleum, and later Standard Oil, developed Saudi Arabia in the 1950s and 1960s. The Saudi royal family became fabulously wealthy and sent all their assets overseas. Saudi Arabia suffered from terrible infrastructure, poor education, spreading deserts and poor wages for the vast majority of citizens.

Such a scenario must be avoided in North Korea. Our goal is to produce a new generation of healthy, highly educated, ethical and motivated North Koreans who can run their country for themselves and for their brothers and sisters. Linking economic development to the exploitation of cheap labor will slow down cultural and social integration of the peninsula.

There is already a dangerous trend in North Korea towards the concentration of wealth in the hands of a tiny elite. If future economic development is further concentrated in the hands of the well connected, who are in turn tied to international banks, they will have no incentive to end the exploitation of workers in factories and mines, or to stop the use of coal-powered power plants.

That is to say that the growing disparity of wealth could be a more serious problem in the long term than the poverty of ordinary citizens in North Korea.

Energy

It is common for politicians to show a satellite photograph of the Korean Peninsula at night and to remark that the complete darkness seen in North Korea, in contrast to Japan and South Korea, is testimony to the lack of economic development in that country. Although it is true that North Korea’s citizens have suffered needlessly from corrupt and arbitrary governance over the past few decades, lighting up the sky at night should not be a priority for anyone.

If anything, South Korea should strive to make sure that its territory is as dark as that of North Korea at night by ending the extravagant use of electricity and encouraging a culture of frugality. If North Korea, by contrast, builds dozens of coal-powered plants and lights itself up at night like a Christmas tree, that will be a monumental catastrophe for the entire region.

The smartest plan for North Korea is to stick to 100 percent renewable energy from the beginning and never start the import of fossil fuels, even if that may slow down the process. Encouraging traditional low-consumption habits can go hand-in-hand with efforts to promote better awareness about nutrition.

There may never be a need to import fossil fuels if North Koreans continue their frugal habits. There may be a need to import solar and wind-power technologies, but it will be critical that North Korea quickly acquires the capacity to produce such products on its own. Toward this goal, technologies related to solar and wind power should be made widely available without any payments for patents.

If North Korea becomes 100 percent renewable energy, it will be a point of pride for its citizens and will become something that South Koreans will come to learn about. Such a sense of worth and of purpose for North Korea is absolutely essential. That sort of psychological boost cannot be purchased with money. We must make sure that North Koreans never feel they are behind other “advanced countries” if they do not waste resources or indulge their impulses in response to commercial advertising. They should know, and we should know, that “small is beautiful.” That is the essence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The frugality we see in North Korea is in part a result of poor economic planning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hich has limited North Korea’s ability to develop. Yet frugality is not a sin, but a virtue. If anything, South Koreans can learn from North Koreans about how to live meaningful lives without indulging in mindless consumption.  Read more of this post

“제대로 된 북한 발전 계획” 다른 백년

다른 백년

“제대로 된 북한 발전 계획”

2018 5 27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북한 정부 관료들의 고충에 연민을 느껴야만 하겠다. 다국적 에너지 기업인 코크 인더스트리즈(Koch Industries)를 비롯한 거대 기업들의 능란한 말솜씨를 지닌 기업가들을 갑자기 맞닥뜨려야 하니 말이다. 이들 기업가는 알맹이는 없지만 현란한 제안을 앞세워 상대를 압도하려들고, 뇌물을 포함한 온갖 수단을 동원하여 북한 자원에 접근하는 열쇠를 넘겨받고, 북한 땅을 영원히 밟지도 않을 투자자들의 이익을 위해 북한을 착취할 수 있도록 만들려고 한다.

이런 과정은 너무나 잘 알려져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여타 걸프 국가들에서 그런 사례를 보았다. 처음에는 영국 국영 석유회사(British Petroleum)가, 이어서 스탠더드 오일(Standard Oil)이, 그리고 이후에는 또 다른 기업들이 소수의 엘리트에게 부를 안겨주겠다며 꾀어서, 외국 투자자와 한줌도 안 되는 사우디 인들을 위해 사우디 천연자원을 무자비하게 착취했다. 그 결과 교육과 사회복지는 말할 필요도 없고, 사우디 국내의 공공 기반시설 역시 매우 후진적인 상태에 머물러 있다.

북한에는 우리의 도움이 필요하다. 우리는 또한 이러한 위험에 어떻게 적절하게 대응할지에 관해 시의적절한 조언을 제공해야 한다. 북한에 대한 강탈은 한반도 전체를 상대로 하는 강탈이 될 수 있다.

기후변화 전문가가 전무하며 기후변화라는 재앙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무분별한 선전에만 열중하는 미국 정부가, 북한에 대한 외국 투자가 가져올 환경에의 영향과 사회적 충격을 제대로 평가할 수 없다는 점은 말할 필요도 없다. 사실상 어떤 기업 혹은 컨설팅 회사도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시장의 압력이 이들 모두로 하여금, 그들이 발견한 바를 이윤에 유리하게 왜곡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북한의 진정한 발전을 위해서 어떤 핵심 사항이 담겨야 할지를 여기서 제안하고자 한다. 이 제안은 정부나 재계에서 현재 실제로 진행되는 논의와 너무 달라서, 많은 독자들은 이 제안이 환상적이면서 동시에 완전히 비현실적이라고 여길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말 바꾸기를 밥 먹듯이 하는 사기꾼들이 수십 년간 휘젓고 다니던 무대에 진실이 갑자기 나타나면, 오히려 그 진실이 생경하고 현실에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 법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세심하게 살펴보고 스스로 평가하기를 바란다. 적어도 한국인들은 다른 제안들과 함께, 여기서 제시하는 모델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논의할 수 있는 용기와 시야를 가졌기를 기대한다. 북한 “개발”에서 거대한 이익을 바라는 인간들로부터 넉넉하게 보상 받는 사람들이 내놓는 그런 제안들과 함께 여기서 제기하는 모델도 함께 논의하기를 바라는 것이다.

서울이 종종 망각하는 점이 있다. 일단 북한이 개방되면 북한 사람들은 한국인이 된다는 단순한 사실, 그리고 남한 사람들 역시 북한이 겪을 수밖에 없을 그런 공격에 노출될 것이라는 점이다. 지금은 더 나은 미래로 향하는 비전을 내놓아야 할 중대한 시점이다.

북한의 경제문화정치 발전을 위한 잠정 계획

계획 수립의 과정

우선, 북한의 천연자원과 노동력을 착취함으로써 이득을 얻게 될 기업과 연계된 컨설팅 회사나 이들과 부패사슬로 연결된 정부 기관의 제안은 무엇이 되었든 폐기해야 한다.

다음으로, 북한과 남한 인사 몇몇을 포함하는 국제자문위원회의 구성이 필요하다. 급속한 사회경제적 변화에서 비롯된 혼란에 대응하기 위해 애쓰는 북한 정부와 시민들에게, 위원회는 적절하고도 유익한 조언을 제공할 것이다.

자문위원회는 북한이 직면하게 될 특정한 사회경제적 도전을 깊이 이해함은 물론이고 대단히 높은 도덕적 기준으로 존경받는 전 세계 전문가들로 이루어져야 한다. 북한의 천연자원과 시민의 노동력을 착취함으로써 이득을 얻을 기업이나 투자은행과 관련된 사람은 자문위원회에 단 한 사람도 포함되어서는 안 된다.

위원회 그리고 이 과정에 참여하는 북한 사람들은 북한 개발을 위한 계획의 초안을 작성하게 될 것인데, 이 초안은 오로지 북한의 장기적 이익에 집중한다. 과학적 원칙을 따르고 가식이나 과장을 삼가며 오로지 진실을 바탕으로, 실현 가능하고도 북한 사람들이 고무될 비전을 제시한다. 소수의 주머니만 불리고 시민의 삶을 악화시키며 환경을 파괴하여 훗날 어마어마한 비용을 치르게 만드는 단기적 처방을 피하지 않는다면 북한이 장기적으로 성공할 수 없음을, 이 계획은 강조해야만 한다.

이 계획은 두 가지의 가장 기본적인 사실을 중심으로 삼아야만 한다.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의심의 여지없이 증명되었지만, 인간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무책임한 정치인들과 선정적 보도를 일삼는 언론에 의하여 무시되어 온 사실들이다. 그 첫 번째는 인류에게 닥친 가장 큰 위협이 기후변화라는 사실이다. 기후변화가 북한에 미치게 될 영향은 건조한 지역의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사막의) 확산 및 농업 생산에 영향을 미칠 기온 상승이란 형태가 될 것이다.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이야말로 개발 프로그램의 핵심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두 번째는 소수에게 집중된 부가 아시아 국가들의 사회조직을 심각하게 파괴하고 건강한 사회를 무너뜨려 왔다는 사실이다. 어떠한 북한 개발계획이라도, 지방 수준에서 시작하는 발전을 고취하고 일반 시민의 이익을 위하여 자금이 사용될 것을 보장하는, 이전과는 근본적으로 상이한 경제 패러다임을 채택해야만 한다. 소수에 의한 부의 집중과 금융의 남용 문제에 대처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전 세계 금융의 대규모 파국이 임박했기 때문이다. 북한은 어떤 일이 있더라도 발전의 첫 번째 단계에서 과도한 부채를 짊어지지 않아야 한다. 단기 이익을 목적으로 북한에 들어오는 외국 기업들은 아무런 사전 경고도 없이 북한으로부터 갑자기 떠나갈 위험이 대단히 높다.

천연자원

북한은 다국적 기업들의 어마어마한 관심을 받을 것이다. 이들의 관심은 북한 사람들의 인권이나 많은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빈곤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다. 투자은행들은 북한 땅의 지표면 아래 광범하게 매장된 석탄과 우라늄, 철강, 금, 마그네사이트, 아연, 구리, 석회암, 그리고 (아시아 지역에서 번창하는 전자산업에 필요한) 희토류를 착취함으로써 얻을 잠재적 이윤에 이끌릴 뿐이다. 남한의 한국광업공사에 따르면 북한 광물자원의 가치는 약 6조 달러에 이른다.

북한은 가난한 나라이며, 북한 관리들은 천연자원의 착취가 환경과 사회경제에 가져올 충격을 판단할만한 전문성을 지니고 있지 않다. 적은 봉급으로 생활하는 북한의 정부 관리들은 풍족함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에 유혹되거나 노골적인 뇌물공세의 빠져 미래 세대가 후회할 결정을 내리게 될 수 있다.

천연자원 개발이 가져올 장기적인 영향을, 평양이 자체적으로 혹은 이해관계에 얽매이지 않으며 높은 도덕성을 지닌 국제 자문가의 도움을 받아 평가할 충분한 전문성을 갖출 때까지 북한 천연자원의 과도한 개발은 조건 없이 동결되어야만 한다. 천연자원의 채굴에 관한 모든 제안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에 의한 폭넓은 환경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귀중한 토양을 파괴하고 돌이킬 수 없는 파괴를 가져오게 될, 우라늄과 철강 및 여타 자원에 대한 노천채굴은 금지되어야 한다.

북한에 엄청나게 매장된 것으로 알려진 석탄을 어떻게 할 것인지는 핵 프로그램의 해체보다 훨씬 더 어려운 문제이다. 석탄 사용이 기후에 파국적인 영향을 미치며, 석탄과 석유 사용의 지속이 향후 30년 안에 지구를 인간이 거주할 수 없는 곳으로 만들 것이라는 점은 과학연구의 압도적인 증거에 의하여 확인된 바다. 가장 훌륭한 정책은 북한 정부가 매장된 석탄을 손대지 않고 내버려 두는 것이다.

석탄을 판매하여 이윤을 취하려는 사람들이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주류 언론과 유력 경제인 및 정치인들은 오로지 이런 사람들이 제출하는 의견에 대해서만 소개하고 논의한다. 그러나 진실을 왜곡하는 정보 혹은 거짓된 정보를 바탕으로 대다수 사람들이 믿는 바는 현실적으로 아무런 적합성도 지니지 못 한다. 진실이 무엇인가가 가장 중요하며, 남북한 사람들이 진실에 접근할 수만 있다면 결론은 명확하다.

궁극적으로, 북한 천연자원의 개발은 이윤 추구의 동기를 지니지 않은 국가독점기관이 관리해야만 한다. 천연자원의 개발이 북한의 환경과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점이 과학적 조사에 의하여 판명될 경우, 이 기관은 개발을 종료시킬 전적인 권한을 지녀야 한다. 천연자원 개발에서 나오는 이익은 교육과 정부 기능의 향상 및 복지에의 투자라는 관점에서, 북한 경제의 발전에 온전히 그 초점을 두어야 한다. 패기 있고 잘 교육된, 새로운 세대의 북한 정부관리 육성이 향후의 발전을 위해 무엇보다 긴요하다. 전문 지식과 높은 도덕적 원칙 그리고 시민의 장기적 요구를 옹호할 수 있는 새로운 관리들이다.

천연자원 개발의 부정적 영향은 환경오염에 국한되지 않는다. 갑작스런 부의 유입은 소수의 권력 엘리트에게 국한되고, 절대다수의 시민들에게는 아무런 이익도 가져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걸쳐서, 영국 국영석유회사와 스탠더드오일이 사우디아라비아의 자원을 개발했던 과정을 보기만 하면 알 수 있다. 사우디 왕족은 어마어마한 부를 일구었고, 그들의 자산을 해외로 내보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공공기반시설은 열악했고, 교육은 형편없었으며, 사막이 확산되고, 대다수 시민은 열악한 임금으로 생활했다.

북한은 이러한 시나리오를 피해야만 한다. 동포의 삶을 위하여 스스로 국가를 운영하는, 건강하고 도덕적이며 패기 있고 높은 교육수준을 자랑하는 북한 사람들을 형성하는 일이 우리의 목표이다. 저렴한 노동력의 착취를 통한 경제성장은 한반도의 문화적, 사회적 통합을 지연시킬 뿐이다.

극소수 엘리트에게 부가 집중되는 위험한 경향이 북한에 이미 존재한다. 향후 경제발전의 과실이 조직된 소수에게 더욱 집중되고 이들 소수가 국제금융에 연결될 경우, 이들은 공장과 광산에서 자행되는 노동자들에 대한 착취를 끝내거나 석탄 화력발전소를 멈춰 세울 아무런 동기도 갖지 못 할 것이다.

일반 시민의 빈곤보다 점증하게 될 부의 불균형이 장기적으로는 북한에게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에너지

정치인들은 한밤중에 촬영한 한반도 위성사진을 보여주면서, 암흑에 휩싸인 북한 모습이 일본과 남한과 비교하여 북한에 경제발전이 부재한 증거라고 흔히 언급하곤 한다. 지난 수십 년간 북한 주민들이 부패와 전제정치에 고통받아온 것은 사실이지만, 북한의 밤하늘을 밝히는 일이 우선순위가 되어서는 안 된다.

진실을 말하자면, 남한이야말로 자국 영토의 밤하늘을 북한의 그것처럼 어둡게 만들도록 노력해야 한다. 검소한 문화를 장려하고 무분별한 전력 남용을 종식해야 하는 것이다. 북한이 수십 기의 석탄 화력발전소를 건설하여 크리스마스트리처럼 밤을 밝힌다면, 이는 한반도 전 지역에 엄청난 재앙이 될 것이다.

처음부터 100%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고수하고 화석 연료의 수입은 아예 시작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현명한 정책이다. 경제발전이 늦춰질지라도 말이다. 소비를 적게 하는 이전의 전통을 장려하면서도 영양섭취 개선 노력을 병행할 수 있다.

검소한 습관을 지속할 수 있다면 북한은 화석연료를 수입할 필요가 전혀 없다. 태양광이나 풍력 관련 기술을 수입할 필요는 있을 수 있다. 이를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는 일이 북한에게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태양광이나 풍력 관련 기술이, 특허권에 대한 지불 없이도 광범하게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북한이 100% 재생 가능 에너지 국가가 된다면, 이는 북한 주민의 자랑이자 남한 사람들이 배워야 할 모범이 된다. 이러한 북한의 자존감과 뚜렷한 목적의식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심리적 자신감이란 돈으로 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자원을 낭비하지 않고 상업 광고가 부추기는 충동에 빠지지 않는 것이지, 여타 “선진국”에 뒤쳐진 것이 아니란 점을 북한 사람들이 확신하도록 해야만 한다. 북한 사람들은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점을 알아야만 한다. 우리 역시 마찬가지다. 이는 한국 전통문화의 핵심이다.

북한에서 목격되는 검소함이란 북한의 경제발전 능력을 위축시켰던 지난 30여년의 형편없는 경제계획의 결과이기도 한다. 그러나 검소함은 죄가 아니라 미덕이다. 남한 사람들이야말로, 무분별한 소비에 탐닉하지 않고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하는 법에 관하여 북한 사람들에게서 배워야 한다.

공공 기반시설

공공 기반시설 건설 계약에 서명하기 이전에 평양이 먼저 해야 할 일은 깊은 심호흡이다. 공공 기반시설과 도시 디자인에 관한 선진국의 접근법이 완벽한 재앙으로 드러났음을 지적하는 저명 학자들의 보고서가 넘쳐난다. 소수의 사람들만 접근할 수 있는 고층 빌딩의 고급 술집에서 눈 아래 펼쳐진 즐비한 마천루를 굽어보거나 스포츠카를 몰고 고속도로를 질주해서 내려오면서 짜릿한 쾌감을 느낄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이런 식의 공공 기반시설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대체로 좋지 않다.

무엇보다 환경 그리고 일반 시민에 미칠 영향을 평가하지 않고 벌이는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가 없어야만 한다.

소비와 낭비를 부추기고 넓은 집과 호화로운 자동차를 선전하는 광고는 북한 사람들에게 필요하지 않다. 호화스런 아파트, 여기저기 들어선 고속도로, 소수의 외국인 투자자가 운영하면서 끊임없는 소비와 낭비를 부추기는 백화점과 쇼핑몰이 북한 사람들에게는 필요 없다.

북한 사람들에게 알려줘야 할 첫 번째는 잘못된 개발계획이 장기적으로 자국에 가져올 막대한 비용에 관하여 스스로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중국을 비롯한 외국에 나가 볼 수 있었던 소수의 특권층 북한인들은 현대의 공공 기반시설과 관련된 심각한 문제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그들이 만났던 기업가들 역시 이러한 문제점을 북한 사람들에게 설명하라고 봉급을 받는 것은 아니다. 북한 사람들에게 진실을 말해 줄 방법을 찾아야만 한다.

새로운 공공 기반시설을 필요로 한다는 점은 북한 사람들에게 커다란 축복이다. 북한의 조건에 부합하면서도 기후변화의 도전에 대응할, 완벽한 공공 기반시설체계를 창조할 귀중한 기회이다. 북한의 모든 공공 기반시설은 처음부터 100% 재생 가능하도록 건설되어야 한다. 북한 사회를 위한 이러한 모델은 전 세계의 벤치마킹 대상이 될 것이며 남한의 실질적인 변화에 영감을 불어넣을 것이다.

모든 빌딩의 벽은 상당한 수준으로 단열 처리하고, 악천후에 대비하여 2중 혹은 3중창을 채용하며 태양광 패널로 마감해야 한다. 가능한 최고 수준의 에너지 효율을 달성해야 하는 것이다. 풍력을 비롯한 모든 형태의 재생가능 에너지가 가능한 최대로 활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재생가능 에너지의 유지와 운영이 현지 주민에게 맡겨져, 일자리가 지역에 돌아가고 주민이 공동체의 디자인에 참여해야만 한다.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지양해야 하며, 주거와 농업 공간의 결합이 장려되어야 한다. 북한이 도시 사회로 변모할 이유는 없다.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참여를 보장하여, 해당 지역의 개발계획과 프로젝트에 관하여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자신의 집을 짓도록 장려하고 이 과정에서 이웃에게 일자리를 나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북한 사람들에게 수입 상품보다 더 필요한 것은 환경 및 사회 이슈에 관한 전문성과 경험과 교육이다.

금융과 자본

북한 사람들이 스스로 각종 도전에 대처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일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두어야만 하지만, 공공 기반시설이나 농업 및 에너지 생산 프로젝트에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 역시 대단히 중요하다. 미래 세대에게 짐을 지워서는 안 된다. 자본 조달의 새로운 전략을 고안하는 데서, 북한은 도덕성을 겸비한 전문가의 조언을 필요로 한다. 우선 북한은, 지역의 농업협동조합과 주민이 소유하는 공동체 은행을 통해 지방 수준에서 자본을 형성하는 프로그램을 고안해야 한다. 국내 자본을 형성하려는 이러한 노력이 북한의 경제발전에 매우 중요하며, 자국 경제를 스스로 관리하여 진정한 의미의 경제자립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전 세계적 규모의 금융위기가 임박했을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최대한 자급자족 상태를 유지하는 일이 북한에게 긴요하다.

향후 들어설 북한의 은행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 동경이나 쿠웨이트에서 투자자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다국적 은행의 지점과 같을 수는 없다. 협동조합이어야만 하며, 이윤을 핵심 목표로 하지 않는 최고위층이 규제하는 독점이라야 한다.

외채를 들여올 필요도 생길 것이다. 외채 도입은 장기 프로젝트에 집중되어야 하며, 상충되는 이해관계를 지니지 않는 전문가들이 세심하게 살펴봐야 한다. 태양광 및 풍력 발전에 자금을 조달하여 화석연료와 결별하기 위해, 북한에게는 20년에서 40년에 이르는 장기 외채가 필요하다. 나아가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장기 부채를 통한 투자에 집중함으로써, 북한은 더 큰 금융 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자본이 생산적 목표에 긴밀하게 연계되어 (주식이나 채권 혹은 선물 등) 투기경제가 차지할 공간이 전혀 없어야만 한다. 북한 경제는 십여 년 동안 주식 등의 투기경제로부터 벗어나 있어야만 하여, 북한의 천연자원이 국제 선물시장에 노출되어서는 안 된다.

노동

북한 사람들에게는 일감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일이란 실질적이고 안정적이며 의미 있는 것이어야 한다. 외국인 소유의 불결한 공장에 떼거지로 수용되어, 낮은 임금을 받으며 수출품을 만드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제조업의 종속은 북한의 잠재력 발현을 영구적으로 가로막는다.

지방의 공동체에 뿌리를 두는 장기적인 일자리를 만들도록 장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일자리는 경기가 좋지 않을 때 외국 기업이 철수해도 없어지지 않는다. 지방의 제조업이 장려되어야 하고 이를 자랑스럽게 여겨야 한다. 신발과 갖가지 도구, (음식을 비롯한 다양한 상품을 담는) 용기 등을 만드는 지방의 제조업은 전통 사회에서 흔한 법인데, 이런 제조업은 지역 공동체를 다시 활성화하는데 지극히 유익하다. 의류와 가구는 20년 이상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일회용 상품이나 오래 가지 않아 못 쓰게 되는 붙박이 상품 등 환경을 파괴하는 상품을 만들지 않아야 한다.

지방 수준에서 상품을 수리하는 것 역시 경제를 활성화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의복과 가구, 신발 등의 상품이 튼튼하게 제작되어 여러 차례에 걸쳐 고쳐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지방 수준에서 소액금융이 제공되어, 몇 개월 혹은 몇 년에 걸쳐 할부로 지불할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하면서, 한 켤레의 신발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언제라도 해고할 수 있는 시장의 일자리가 아니라, 소속감을 줄 수 있는 공동체 작업장을 만들 필요가 있다. 고용된 사람들에게는 노동자로서의 기본적인 권리가 주어져야 한다.

교통

자동차가 많지 않고 고속도로가 적다는 점은 북한에게 축복이다. 출근하거나 쇼핑을 하는데 자동차가 필요하지 않은 공동체를 만드는데 완벽한 환경이다. 지루한 고속도로가 없는 공동체를 만들 수 있다면, 전 세계가 이를 부러워 할 것이다.

주어진 지형과 이미 존재하는 촌락으로부터 유기적으로 형성되도록 공동체가 구상되어야지, 이방인들이 미리 만들어 온 개발계획을 강제해서는 안 된다. 고객의 입맛에 맞춘다면서 농토와 자연환경을 파괴하고 여기에 새로운 도로 등을 개발해서는 안 된다.

가능한 한 가족 구성원들은 집에서 혹은 거주지에서 가까운 곳에서 일할 수 있어야 한다. 부동산 투기는 철저하게 제한되어야 하며, 농지 소유는 지역 주민에게만 허용되어야 한다. 외부인, 특히 기업의 농지 소유가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

북한에 고속도로를 건설할 필요는 없다. 고속도로는 건설하고 유지하는데 많은 비용이 드는데, 개발도상국이 고속도로 건설 때문에 불필요한 외채를 지게 만든다. 서로 중복되는 대중교통이 사람과 물자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교통체계를 잘게 나누고, 이에 따라 자동차가 그리 필요하지 않도록 만드는 방법은 많다. 전 세계가 부러워 할, 전례 없는 교통 인프라를 창조할 기회가 북한에게 주어졌다.

고속도로 시스템을 통해 다른 도시로부터 상품을 들여오는 낭비 없이, 각 공동체가 자급자족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처음부터 전기 자동차를 활용해야 한다. 북한에서는 100% 전기로 작동하는 교통체계를 만들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할 것이며, 이 원칙을 고수한다면 향후의 발전 과정에서 커다란 이점을 누릴 수 있다.

교육

미국이나 남한에서는 교육이 수십억 달러 규모의 사업이 되었다. 북한도 그런 사회가 될 필요는 없다. 교육은 윤리적 문제와 개개인의 자유로운 표현, 학생들 사이에서 그리고 더 나아가 시민들 사이에서 토론되는 세계에 관한 과학적 탐구에 집중되어야 한다. 사회가 현재 당면하고 있는 다양한 도전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커다란 프로젝트의 일부로서 독서가 장려되어야 한다.

초등학교부터 이루어지는 교육에 관한 접근법의 전환은 충분히 사회를 변모시킬 수 있다. 많은 나라의 젊은이들이 비디오 게임과 천박한 비디오, 상업화된 음악과 포르노에 아무런 생각도 없이 탐닉하여, 자신의 연령대에 접해야 할 이슈들에 참여하지 못 하는 수동적 소비자로 전락하는 상황을 북한은 피해야만 한다.

기후변화와 농토관리에 관한 주민 교육이, 북한의 국제협력에 대단히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다. 필요하지도 않고 분에 넘치는 상품을 구입하라고 부추기기보다 농업을 발전시키는데 더 많은 재원을 투입해야 한다.

북한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서 교육의 질 향상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발전도상국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이자 어쩌면 남한에도 수출할 수 있는 모델을 확립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이다.

교육은, 건강한 사회의 중심으로 자리 잡아야만 할 인문학과도 연결된다. 시민사회의 번성을 위하여, 예술을 통한 창조적이고도 세련된 표현이 장려되어야 한다. 가공음식과 일회용 화장품 소비를 통해 시민사회를 형성할 수는 없는 법이다. 회화와 조각, 음악과 노래, 댄스, 시와 서사는 시민 삶의 일부가 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사람들은 주변의 세계를 이해하고 더 나은 세계를 상상할 수 있어야 한다.

예술이란 분별없는 소비를 부추기는 수단이 아니다. 예술을 통해 사람들이 다양한 문제에 눈을 뜨고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데 초점을 두어야만 한다. 지역 공동체에서 일반 시민이 창조하는 예술이 될 수 있다면, 북한은 자신의 문화 정체성을 정립함은 물론 세계에 기여할 수 있다.

농업

화려한 호텔과 호화로운 레스토랑 그리고 소수의 출입만 허용되는 밀실을 만들기보다는, 협동조합이 중심이 되는 농촌 공동체를 창조하는 일이 북한에게 장기적으로 훨씬 중요하다. 엘리트를 위한 방종한 프로젝트가 단기적으로는 정책 결정자들에게 짜릿함을 안겨줄 수도 있겠지만, 이는 결국 더 큰 사회적 소외를 가져올 뿐이다. 북한 사람들은 그들이 농부라는 사실을 자랑스럽게 여길 수 있어야 한다. 농업이란 세계 경제의 미래이며 가장 명예롭고도 중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북한의 현대화가 농경 사회를 탈피하는 과정이라고 가정하는 사람들이 있다. 모든 노동자가 공장에서 일하거나 서비스 산업에 종사하는 산업사회로 변모하는 과정이라고 가정하는 것이다. 근거 없는 가정일 뿐이다.

가까운 장래에 남한은 농산물 생산비용의 상승으로 커다란 위기를 맞을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사막화가 진행되고 농지를 보존하지 못 한 결과이다. 석유와 수출입에 의존하는 위험스런 경제를 추구하며 농업을 희생시키는 일은 남한의 커다란 실수이다.

북한은, 몬산토나 듀퐁 등의 다국적 농업기업에 의존하지 않는, 지역 공동체가 운영하는 지속가능한 유기농업을 발달시킬 필요가 있다. 북한은 애초부터, 외국으로부터 수입된 종자와 비료 및 농약에의 의존으로 이어질 비극적인 결정을 하지 않아야만 한다.

 

“북한 개발의 환상을 접어라” 중앙일보

중앙일보

“북한 개발의 환상을 접어라”

2018년 5월 25일

임마누엘페스트라이쉬

 

북한 개발의 첫 단계는 급속한 사회·경제 변화에 따른 혼란에 대응할 수 있도록 북한에 적절하고 유용한 조언을 제공할 국제자문위원회를 설립하는 일이다. 이 위원회는 북한이 직면하게 될 어려움을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전 세계의 전문가들로 구성돼야 한다. 그 전문가들은 투자은행이나 기업과는 관련이 없어야 한다.

북한에 매장돼 있는 석탄과 각종 광물을 통해 얻게 될 이익에 큰 관심을 가진 다국적 기업들이 있고, 북한은 가난한 나라다. 관료들은 이런 유혹에 빠져 미래 세대의 한국인이 후회할 결정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장기적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전문 지식을 확보할 때까지 북한의 모든 광물 자원 개발을 동결해야 한다. 또 북한의 천연자원 개발은 과학적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엄격하게 규제할 수 있도록 국가가 독점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좋다. 광물 자원 개발에 따른 이익은 교육, 통치 방식의 개선, 복지 측면에서 북한 발전을 위해 쓰여야 한다. Read more of this post

Emanuel goes crypto with the Ephemera

I have decided to to go into the cryptocurrency business myself, big time.
I hereby launch my new currency, the “Ephemera” on my own authority.
One Ephemera is certified to be worth exactly 1 US Dollar.
Thereby, this first issue of Ephemeron, at 70 trillion Ephemeron denoted by this banknote, is equal in value to the entire global economy.
image1 (44)

The Ephemera cryptocurrency Launched by Emanuel Pastreich on May 25, 2018

“慢动作的内战:美国的三路作战” 多维新闻

多维新闻

“慢动作的内战:美国的三路作战”

2018年 5月 23日

贝一明

 

我们过于习惯美国为世界设定标准的实用政治体系,以至于在这个过渡时期,很多人很难想象华盛顿特区正在发生大规模体制衰退,而这只会加速,且如果处理不好,所导致的全球战争及国内战冲突的风险,将远远超出我们目前所见。

这意味着我们对美国当前事件的准确解读,最好认真看待,否则我们会有被事件压倒的风险。

首先,我们必须超越美国政治中过分单纯化的保守派与自由派对立。我们必须停止尝试将我们观察到的矛盾信息,强加于无意义的对立当中。特朗普的政权是个极端而不保守的政治运动,而其在华盛顿的反对党,并不是自由主义者。我们正在目睹美国的“三路作战”,这蔑视了过去70年来对政治的假设。复杂的斗争已经到达高峰,而这让特朗普成为总统,还另他掌权直到现在。

现代政治中“三路作战”这个说法,源自于莱昂斯(Matthew Lyons)于2006年8月3日在他的部落格“三路作战”中发表的题为《捍卫我敌人的敌人》的迷人文章。虽然莱昂斯的分析绝对有左翼的倾向,他的分析非常鞭辟入里。

莱昂斯是这么说的:“不像本质上的左与右、压迫与解放力量之间的二元对立,三路作战政治假设一种更复杂的抗争,核心关注全球资本主义统治阶层、革命派的左翼和右翼。后者包括各种法西斯主义和其他极右派,他们想以一种不同的压迫性社会秩序,来取代全球资本的统治地位。”

我以“全球主义者”一词代表“全球资本主义统治阶层”、“反全球化左派”来代表“革命派左翼”、“反全球化右派”来代表“革命派右翼”。我觉得“资本主义者”和“革命者”两个字都过于含糊且夹带太多意识形态,误导人们的部分和告知人们的一样多。 Read more of this post

Poetry of Maija Devine & Lee Eun-Shim from Peace march against plastic surgery

The poets Maija Rhee Devine (이매자) and Lee Eun-shim (이은심) read aloud their poems in protest against the cultural violence perpetrated against women by the commercialized plastic surgery culture thriving in Sout Korea at the “Peace March against cultural violence towards women.” The event was organized by the Asia Institute (president Emanuel Pastreich)  and the Korea Peace Movement (president Lakhvinder Singh) organized at  Apgujeong Station on April 23, 2018.

 

The event lasted for about one hour, but formed a powerful contrast to the slick culture of consumption that has taken over the Gangnam district. Something of Korea’s powerful poetic tradition was harnessed to present an alternative view of what is possible for women.

 

29770331_1749859735052969_3224945102656897024_n

Maija Rhee Devine listens intently to Lee Eun-shim’s poem about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women.

singhs remarks

Lakhvinder Singh introduces Maija Rhee Devine

best photo

Maija Rhee Devine (far right) Lee Eun-shim (third from the left), Emanuel Pastreich (second from the left) and Lakhvinder Singh (middle).

 

The Poems:

 


Maija Rhee Devine

River Gulls, Poetry, and Flying Spirits

                     

Skyscrapers pierce clouds, thrust

up like knives.

Miaow, miaow, river gulls once

flocked to this Apgujeong Pavilion,

called out like cats.  Here,

 

Han Myung Hoe,

Father of Queen Gong-hye,

shed the world like snake skin.

The Han River ran jade poetry.  Mulberry trees

and river gulls, pals from before time.

 

Now Rodeo Drive district of Seoul,

boom, boom, it pulses Gangnam style.  Chit, chit,

investment money piling, click, click surgeons’

scalpels.  Out march beauties. New Western noses, Barbie

Doll eyes.  Sixteen persons per thousand, world record.

 

Yellow, blue, red, violet pansies, symbols

of deep thoughts, cram concrete pots, drink

the sun, jiggle shoulders in spring breeze.

Gulls romanced here, girl gulls

plucking fish from boys’ beaks.

 

April spirits shout like shamans.

Short legs, bowed legs, run, run.

Ulsoo, ulsoo, Seven Star Spirits, come..

We’ll stretch your legs like noodles

to Hollywood slim.  Ulsoo, ulsoo.

 

Wheeeet, the subway train whips by.

He, who said, I’ll be with you always, leans

against an ivory tower, where richest rich

and brand names buzz.  Te te, scraped

sinew and bones hit surgery pails.

 

Clouds turn orange.  Restaurants and bars

pour buckets of lights, flip switches to boom, boom.

Gulls circle the dank air.  Neon crosses rocket up,

electric-sparkle-red.  Through the night untampered

beauty sprouts all green from mulberry trees.

 

이매자 시인

 

압구정 갈매기, 신들린 그들, 그리고

 

까맣게 높다  고층건물들

하늘을 향한 칼로 서있다.

그 옛날, 아옹 아옹

고양이 갈매기들이

압구정 정자에 몰려들었지.

 

여기 한명회 공혜왕비의 아버지

세상을 훌렁 벗어버린 곳

한강은 옥빛 시로 흐르고

종이를 만들라고 알몸을 내어주는

닥나무 갈매기와 단짝이었다

 

이제는 번쩍거리는 로데오 드라이브 중심가

쿵작 쿵작  강남스타일.  척척 증권 투자 돈이 쌓이는 소리.

싹싹 성형수술 칼날 살 베는 소리.  그 소리 밟으며 미인들

걸어 나온다.  서양식 코, 미국 인형 바비의 쌍까풀 눈

천의 얼굴 열여섯명, 세계 최고 명수가 그 칼을 맞는다.

 

노랑 파랑 빨강 보라색 제비꽃들. ‘생각이 깊다’ 가 꽃명

콩크리트 화분이 터져버려라 외치며 홀짝홀짝 햇빛의

낯술을 마신다.  봄바람에 생각이 한들거리면

갈매기가 연애하던 이곳.  가시내 갈매기가 머시매

갈매기 주둥이에서 물고기 달랑 달랑 따먹었지.

 

사월의 신령들의 목소리 무당소리로 터진다

짧은 다리 휘어 굽은 종아리 썩썩 물렀거라

얼쑤 얼쑤 칠성대감 내려오소서

너희 다리 쑥쑥 국수같이 뽑아서

오드리 햅번 다리 만들어주마. 얼쑤 얼쑤

 

쉬익.  지하철이 깊은 생각의 말 토하며 달린다.

‘나 너와 항상 함께 하리라’ 라고 하신 분

재벌과 명품들이 들 끓는 상아탑 곁에 서 계시다

칼날이 삭삭 저며 낸 살덩어리 톱니가 갈아 낸 뼈 부스러기

사르르 사르르  깡통안으로 버려지는 소리.

 

하늘에 주황색 구름이 둥 뜨는 시간, 음식점

술집들이 한꺼번에 불을 켠다.  밖으로 팡팡 내 쏟는다.

갈매기 강물의 수비군 빙빙 돈다.

십자가 네온사인 하늘의 로케트.   반디불 색.

칼 대지 않은 아름다움  밤새 닥나무에서 파랗게 탄생한다.

 

이은심 시인

 

작은 것이 아름답다

쉿!

움직이지 않는 것에 귀기울여 보세요

구매할 것들이 잔뜩 걸려있는 쇼원도우로부터

눈을 돌려 보이지 않는 배추흰나비가 춤추는 들녘으로 걸어 나오셔요

끝임없이 무언가 만들어내면서 가차없이 소비를 강요하는 굿즈로부터 독립하는 꿋꿋한 시선이 되어 보셔요

늘어나지도 줄어들지도 않는 것들이 늘 우리 곁에 있었어요 끊임없이 생산하고, 제조하고, 강매하는 저 어릿광대의 시장에서 한 걸음 물러나 보셔요

이미 돌이킬 수 없이 나아간 잰 발걸음들. 돌아갈 수 없다는 것을 알고 한숨쉬는 현자들. 점점 악화되는 세계의 괴물같은 모습이 떡하니 버티고 섰어요

아니, 저기 저 거꾸로 돌아서서 혼신의 힘을 다해 달려가는 아이가 있네요 오로지 자신의 두 발의 힘에 의지해, 아라랏 산정으로부터 전속력으로 굴러오는 크나큰 눈덩이를 온몸으로 막고 서있네요

작은 것이 아름답다 외치는 순간. 전세계에 있는 작은 것들이 모여들어 생명의 들판 곳곳에서 작은 축제를 벌이려 해요 모든 죽어가는 것들이 스스로의 운명을 지키려 노력하는 동안의 짧은 빛으로의 데이트!

코스모폴리탄! 당신은 지금 무얼하고 있었는지요? 물과 전기, 종이와 옷, 식기와 가구. 불필요한 것들이 쌓이고 넘치는 헛간을 짓고 있지는 않겠지요?

쉿! 움직이지 않는 것에도 귀가 달려 있네요 우리의 말을 엿듣고 있었어요. 옛어른님들의

말과 둥글게 닮았다고 느끼셨나요? 저 혼자 명상의 지붕 아래 커졌다가 작았다가, 굳이 쌍꺼풀수술을 하지 않아도 발견되는 아름다움!

부디 일렁이는 고요. 깊이의 숲으로 들어와 보세요

여성문화폭력저항 코리아평화운동 & 아시아인스티튜트

날짜:월요일
사월 23

시간: 10-11A

장소: 5번 출구. 압구정역

정신적이고 심리적인 여성에게 꽤 모욕이 되는 소비와 외양의 비하적인 문화에 노하고 말할 때가 왔습니다

우리는 ,우선, 여성을 저하시키고 상업화시키는 광고포스터들을 한 차례 둘러볼 것입니다

그리고 여성을 소모를 위한 사물로 격하시키는 저급한 방해꾼, 상업주의 사회에 충격법을 토론할 것입니다

그룹회원들은 짧은 스피치를 할 것이고, 현대문명속에 여성들이 일용품이 되어가는 방식을 논할 것입니다.

그리고 성형수술산업의 현상태를 분석할 것입니다. 그런 생각을 추진하게 하고, 또 서울지역의 경제를 살리게 하는 그런 것들.

우리는 조신하게, 그러나 심오하고도 중대하게, 무대 역할을 할 것입니다

우리랑 함께 해요!

친애하는
이만열 아시안스티튜트 감독

epastreich@asia-institute.org

락빈더 싱
코리아평화운동 감독
parvkaur@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