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thly Archives: August 2013

조선일보 서평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

조선일보

2013년 8월 24일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지음

21세기북스

276

페스트라이쉬(49) 교수는 미국인이지만 이만열이라는 한국 이름을 갖고 있다. 하버드대학에서 ‘박지원의 소설’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 여성과 결혼했고 경희대에서 교편을 잡고 있다. 이런 배경을 가진 외국인이 한국 사랑을 고백하는 책을 냈다고 해서 감동하던 시절은 지났다. 그런데 책을 읽다 보니 여기저기 밑줄을 치고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한국 원더풀!”이라고 하지 않고 “더 멋진 한국을 만들자”고 했고, 그 목적을 이루는 데 필요한 제안까지 정성스레 준비했기 때문이다.

세계 곳곳에서 한류에 대한 찬사가 이어진다. 그런데 저자는 “한류는 연예나 대중가요, 드라마에만 국한된 표면적 문화일 뿐”이라고 쓴소리를 한다. 대중문화의 힘을 과소평가해서가 아니다. 한류를 완전히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노래 한 곡 더 히트시키고 드라마 한 편 더 파는 것보다 한국 문화의 근본적인 우수성 홍보가 더 중요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는 “한국은 존경할 만한 나라라는 인식을 세계인의 머리에 심어줘야 한다”고 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그는 선비 정신을 한국 문화의 상징으로 홍보하자고 제안했다. ‘사무라이’와 ‘닌자’를 국제사회에 일본을 소개하는 개념으로 발전시킨 일본 전례도 소개했다.

한국을 명품 국가로 만들기 위해 전통에서 실마리를 찾자는 주장도 새롭다고 할 수 없지만 구체적인 방안에는 고민한 흔적이 뚜렷하다. 그는 한국의 외국어 교육은 여전히 독해만 잘하는 사람을 만든다면서 말하기·읽기·쓰기에 모두 능통한 인재를 키워낸 조선시대 역관(譯官) 교육을 연구하자고 했다. 한국에 통역·번역가는 넘쳐나지만, 옛날 역관처럼 시와 그림을 잘 아는 통역사는 드물다는 지적도 곱씹게 된다.

한국인이 추석을 쇠는 방식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했다. 조상을 모시는 멋진 전통을 갖고 있지만 이를 한국에 들어와 사는 외국인에게 확산시키지 않는 것이 아쉽다는 것이다. 그는 “향후 인구 감소를 겪게 될 한국은 우수한 외국 인적자원을 유치하기 위해 다문화사회 정책을 적극적으로 펴야 한다”며 ‘추석 세계화’도 효과적인 다문화 정책이 될 수 있다고 했다. 한국에 사는 외국인도 추석을 쇨 수 있도록 국가·민족별 ‘조상 기념관’을 지어 주자는 제안도 참신해 보인다.

 링크

“고래 틈에 낀 ‘새우 콤플렉스’ 이제 그만 버려라” 중앙일보 2013년 8월 25일 (서평)

  “고래 틈에 낀 ‘새우 콤플렉스’ 이제 그만 버려라”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 서평)

중앙일보 2013년 8월 25일

emanue

 

“한국전이 끝나던 1953년,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67달러, 소말리아 수준이었다.”

한국의 기적을 논할 때면 으레 등장하는 단골 메뉴다. 한국 경제의 눈부신 성장을 단적으로 보여 주는 수치이자 한국인들이 자랑스레 인용하는 팩트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렇게 뽐내는 게 현명한가. 이는 큰 잘못이라고 고개를 가로젓는 푸른 눈의 외국인 학자가 있다.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한국명 이만열ㆍ49ㆍ사진)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다. 그가 지적하는 잘못은 분명하다. 찬란한 한국 전통 문화에 대한 무시다. “과거 한국이 소말리아와 비슷했다고 강조하면 문화 수준까지 같았을 거란 오해를 부른다”는 것이다. 이런 추정은 원치 않는 결과를 초래한다. 한국 전반을 깔봄으로써 한국인, 한국 제품을 믿지 못하는 신뢰성의 위기를 부른다는 것이다. 한국 제품, 한국 기업, 한국 경제가 대접 못 받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기원이다.

페스트라이쉬 교수는 한국의 과거를 보고, 미래를 알아 주는 동아시아 전문가이자 글로벌한 인문학자다. 미국에서 태어나 자랐지만 한·중·일 3개국 언어에 능통하다. 미 예일대에서 중국 문학을 전공한 뒤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대에서 석사를 땄다. 그 후 Read more of this post

Seminar: “Response to the Fukushima Crisis” (September 7, 2013) Please RSVP

Asia Institute Seminar

“Drafting a White Paper for a Response to the Fukushima Crisis”

Saturday, September 7, 2013

2-4 PM

 

Location: Starbucks at Gwanghwamun (across the Street from Kyobo Books)

스타벅스 광화문점 02 758-8036 3층

In light of the unprecedented environmental threat posed by the radiation leaking from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in Japan, it is urgent that the world come together as one to propose a long-term global solution that includes both experts and concerned citizens from around the world. That solution must stress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develop new technologies and approaches to produce a permanent solution to this disaster over the next 30 years. But we also need to consider include social, cultural and institutional innovations that will make such massive collaboration possible. Read more of this post

「情報憲法は必要か」 ザ・ハフィントン・ポスト・ジャパン エマニュエル パストリッチ

ハフィントンポストジャパ

ってくるデ危機: 情報憲法必要

2013年08月22日

エマニュエル パストリッチ

慶熙大学教授、アジアインスティチュ所長

link

最近、アメリカでは、情報機関である国家安全保障局 (National Security Agency) が、アメリカ国内の一般国民を対象に不法でスパイ監視行為をしたことが公開され、大きな波紋を呼んでいる。特に、連邦公務員、及び、政府とさまざまな形態の契約を結び、勤務する関連業者はインターネットの監視技術を悪用、または濫用することに対する厳しい批判的な反応を招いた。ところが、このような複雑な問題を単に倫理的な次元においてのみ扱うなら、私たちの社会にすこぶる大きい影響及ぼす現象を見落とす恐れがある。

個人情報や国家機密に関する情報を担当する公務員の道徳性に問題がありえることもある。しかし、それよりも夥しく進化し続ける情報の分析、 複製、捏造する技術の発展こそ、より詳しく探らなければならない。今回の情報濫用事件のように、国家安全保障局という政府機関が、国家的に関与するというよりむしろ、こうした分野を政府が委託している請負企業やその企業の少数の職員たちが個別に活動する場合がほとんどである。情報監視の技術は、目まぐるしく発展する一方、これに対応する新しいスパイ行為で、既存の機関や情報組織、通信企業、そして個人が、このような新技術を使用しようとする試みや誘惑が強まっている。したがって、ただ道徳的な基準だけ突きつけたなら、このような問題点を扱う、社会変化に伴う効率的な制度整備は後回しにされ、現実的な解決法を提示されないまま、近い未来にはそのようなスパイ事件がより深刻になることは間違いない。 Read more of this post

[씽크탱크] 아시아인스티튜트 페스트라이쉬 소장 (Asia N)

 

[씽크탱크] 아시아인스티튜트 페스트라이쉬 소장

Asia N Magazine

2013.08.22

link

 

pastreichimage

 

“환경파괴, 빈부격차, 전통단절 등 아시아 문제에 집중“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Emanuel Pastreich·49) 소장은 고등학교 시절부터 아시아에 끌렸다. 그래서 간 곳이 예일대 중문과였다. 대만국립대 교환학생으로 1년간 대만에 머물기도 했다. 학부 졸업 후 1991년 그의 발걸음이 닿은 곳은 일본. 동경대에서 비교문화학으로 석사를 취득했다. 박사학위는 하버드 대학원에서 ‘한일 중국통속소설 수용 과정 비교연구’로 받았다. 그리고 도착한 곳이 한국이다.

페스타라이쉬 소장은 “학부시절부터 동북아를 중심으로 아시아가 세계의 중심이 될 거란 막연한 느낌이 있었다”면서 “오늘날 한류란 흐름 속엔 전 세계 사람들의 한국 탐험에 대한 욕구가 들어있다. 내가 중국과 일본 문화에 대한 탐구를 거쳐 최종적으로 한국에 닿을 내린 것도 바로 그 때문”이라고 밝혔다. 실제 그는 한국인과 결혼해 장인으로부터 ‘이만열’이란 이름까지 받았다. 영어 못지않게 한국어도 유창하다.

-아시아인스티튜트 설립 배경은.
“주미 한국대사관 홍보원(KORUS House) 이사로 있으면서 ‘다이나믹 코리아’을 발간했다. 당시 ‘동아시아 정치 및 사업’에 관한 강연시리즈를 기획했는데 지금도 홍보원의 주요사업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런 일들을 하면서 연구소를 설립하고 싶은 꿈이 생겼다. 이후 충남 도지사 국제관계 보좌관으로 근무하며 우송대에서 교수를 할 때 아시아인스티튜트를 설립했다. 2007년 6월 일이다”

-연구소 비전이라면.
“아시아는 빠르게 경제와 지적인 면에서 세계의 중심이 되고 있다. 그러나 군비증강, 성장을 위한 잘못된 계획, 생태학적 저하, 환경부담, 기술의 무분별한 사용, 소비지상주의에서 오는 전통문화의 쇠퇴가 아시아의 거대한 잠재력을 누그러뜨리고 있다. 아시아인스티튜트는 이러한 아시아 문제에 집중해 시대를 고무시킬 수 있는 더 큰 아시아의 비전을 보여주고자 한다.”

-개인적 관심사는 무엇인가.
“한-중-일-미간 공동 연구 추진이다. 워싱턴 주미대사관에서 정무 및 공보 공사 자문관을 했고 이런 경력을 바탕으로 한국 대사관에서 Read more of this post

책사인회 BOOK SIGNING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 Emanuel @ KAIST

Emanuel Pastreich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경희대학교 교수  아시아인스티튜트 소장)

책사인회 BOOK SIGNING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

하버드 박사가 본 한국의 가능성”

한국인만모르는다른대한민국-표1

21세기 북스

8월 27일 (화요일) 오후 5-7 PM (Aug. 27, 2013)

장소: 카이스트 북카페 (카이스트 도서관 1층) KAIST Book Café

A Different Republic of Korea

(About Which Only Koreans Are Ignorant)

A Harvard Ph.D.’s Views on Korea’s Potential

book cafe

“놀랍게도 임마누엘 페스트리아쉬 교수는 한국의 문화, 문학, 예술, 고대부터의 행정 및 한국 전통 제래식 농업 안에 오늘날 우리 사회의 병폐를 고치는 데 꼭 필요한 노하우가 숨어 있다고 믿는다. 한국의 전통속에 기후변화외 빈부 양극화 같은 전 지구적인 난제를 푸는 열쇠가 있다고 믿는다”

권병현 미래숲 대표 (전 주중 대사)

 

“이책은 특별하다. 한국인이 아니면서 한국을 한국인 못지않게 사랑하는 최고 지성의 눈으로 바라보는 한국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그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보자. 우리가 가야 할 미래가 거기에 있기 때문이다”

김명자 전 환경부 장관 

‘미래숲’, 한류의 새로운 장르

‘미래숲’, 한류의 새로운 장르

전 주중 대사 권병현이 설립한 단체인 ‘미래숲’은 한류의 미래를 상징하는 단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미래숲’은 한국과 중국 학생들이 같이 협력하고 운영하는 친환경 단체로 중국 구부치 사막에 가서 사막화 확대를 방지하기 위해 나무를 심는 것이 주요 활동이다. 한국과 중국 청소년, 그리고 올해부터 미국 학생도 참여한다. ‘미래숲’의 활동은 기본적으로 봉사활동이고 서로 몰랐던 학생들이 만나서 계획도 세우고 공부도 하고 친구도 되는 기후 변화를 막기 위한 국제적 차원의 노력이다. 그리고 학생들은 ‘미래숲’의 녹색봉사단을 직접 운영하고 있고, 내가 아는 유일한 한국 및 중국 학생의 심도 있는 대화 및 교류의 공간이다. 학생들은 내몽골에서 이른바 Great Green Wall(나무로 만든 사막 방지 장벽)을 세웠고 계속 확대하고 있다.

‘미래숲’ 사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연결시킨 고리는 황사다. 한국과 중국이 고민하는 황사를 직접 해결하기 위해 손을 잡고 협력하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황사는 결국 한국과 중국 학생이 직접 사막에 가서 나무를 심도록 만들고, 더불어서 문화교류나 새로운 문제의식도 만들어냈다. 이처럼 한국인이나 중국인이 동시에 고민하는 황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는 활동은 한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사실 청소년들은 거의 예외 없이 기후 변화를 우려하고 있다. 말을 하지 않는 것뿐이다. 그런데 자기는 아무것도 못 한다는 무력감을 느낀다. ‘미래숲’은 바로 그런 생각을 행동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것이 바로 한류의 미래다.

‘미래숲’에서 열심히 활동하는 사람 가운데 조심열(趙心悅) 씨가 있다. 조심열 씨는 다롄 출신이고 지금은 서울대 한국어교육 석사과정에 있다. 조심열 씨는 ‘미래숲’ 활동을 열심히 하고 한국문화를 아주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그녀는 한국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한다.

“한국문화의 매력은 한 단어로 표현하면 물진기용(物盡其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모든 자원이나 문화요소를 저마다의 효용을 충분히 발휘하고 극대화시키는 것입니다. 제한된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무한한 가능성과 기적을 만들 수 있는 힘을 갖고 있습니다. 재료가 풍부한 전통음식부터 완벽함을 추구하는 한국인까지, 한국문화의 이러한 특징을 엿볼 수 있습니다. 화려하고 커다란 것보다 정교하고 아담한 것을 선호하는 문화는 물질만능주의가 주류를 차지하는 현대사회에서 찾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그녀는 강남스타일의 성공에 대해 높이 평가하지만 한국문화라는 차원에서 색다른 의견을 제시한다.

“강남스타일이 K-Pop의 대표로 세계에서 인기와 각광을 받는 것은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중성(大衆性)과 오락성을 강조하는 현대문화에 맞춘 쉽게 따라할 수 있는 리듬, 누구나 배울 수 있는 춤과 노래가사, 웃긴 동영상 등은 강남스타일의 성공을 이끈 요소입니다. 하지만 강남스타일을 비롯한 K-Pop의 모든 요소는 다 서양에서 수용해 온 것이며 한국 대중문화나 음악의 특수성과 독창성을 반영하지 못한 문화 현상이라서 ‘한국문화’라는 라벨을 붙이기 어렵습니다.”

조심열 씨는 ‘미래숲’의 활동이 한류의 한 종류라고 본다.

“처음에 정부추천으로 ‘미래숲’ 방중행사 통역을 맡아서 봉사활동을 시작했습니다. 평생 처음으로 황량한 사막에 가서 사막화의 심각성과 파괴성을 직접 목격하고 환경보호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봉사활동을 계속하게 되었습니다. ‘미래숲’은 나무뿐만 아니라 환경의식과 희망의 씨앗도 사람의 마음속에 심어주는 NGO입니다. 평안한 삶을 누리고 있어 환경문제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지 못하는 신세대에게 ‘지구 살리기’와 거안사위 (居安思危)의 중요성을 가르칩니다. 또한 환경보호는 단지 강대국이나 정부의 몫이 아니라 개인의 힘을 모아서 사막에도 오아시스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Emanuel’s letter to Amy Goodman at Democracy Now

Below is the letter that I sent to Ms. Amy Goodman, host of the popular television news program “Democracy Now” that broadcasts from New York City. In the letter, I draw attention to the almost complete absence of coverage on Democracy Now about Asia. This rather liberal show takes a great interest in the downtrodden of the world, and for that I am most thankful, but for some reason, it appears that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issues are of interest if they are in the Middle East, Central America and Latin America, but Asia is not of any particular interest to their programming.

Of course my observation may be incorrect, but I would like to note for the record that I sent this letter twice via the on-line format and mailed the hard copy to Ms. Goodman.

I only wrote her after three attempts to get someone on the phone who would respond to me concerning this issue failed. I think you could say I was stonewalled by the team at Democracy Now.

I never received any sort of response to a very serious and important point that I raised in the letter. I find this rather baffling since Ms. Goodman is constantly attacking people for stonewalling her and not answering her questions. Could it be that stonewalling is something that only applies to other people?

I sometimes wonder whether many traditional liberals in the United States have simply written off East Asia as belonging to business and the Republicans, and prefer to focus on their pet concerns: Latin America and the Middle East. I do not claim to understand. Do enlighten me on this point.

By the way, I still watch Democracy Now for news reports today. it covers many important issues, even as it has enormous blind spots.

Read more of this post

“한국의 소녀들을 위한 롤 모델 창조가 시급하다” (조선일보)

조선일보

2013년 8월 15일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이만열)

한국의 소녀들을 위한 롤 모델 창조가 시급하다”

최초의 여성 대통령 추대는 한국 사회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 이후 여러 단체에서 활동하는 여성들이 공식 석상(席上)에서 망설임 없이 의견을 표명하고 매우 자신감 있게 목소리를 내는 모습이 눈에 띈다. 박 대통령의 당선은 한국 사회에 바람직한 발전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제 한국 여성들이 대학과 기업, 공직 등 사회 곳곳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권위를 상징하는 자리에 임명되지는 않더라도 실무자로서 큰 힘을 행사하고 있다. 그리고 조만간 리더로서도 중심적 역할을 하게 될 것이 틀림없다. 나를 비롯해 많은 교수는 가장 뛰어난 학생들은 모두 여학생들이고 이들은 놀라운 추진력과 창조성을 지니고 있다고 말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한국 여성의 성과를 축하하는 것만이 나의 관심사는 아니다.

한국 부모들은 딸에 대해 아들과 동등한 기대감을 갖고 있다. 하지만 한국 사회는 여성들이 배운 대로 일할 수 있는 사회적 조건이나 업무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여성이 자력으로 사회 지도층이 되거나 큰 꿈을 실현하는 일은 각종 장애와 유리 천장을 극복하는 투쟁의 과정이다. 그 결과 결혼과 자기 생활의 균형을 이루기 어려운 현재의 여성 문제는 한국의 심각한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낳고 있다.

한국 여성에게는 더 큰 어려움이 있다. 한국 사회에서 여성의 중요성은 지난 20여년간 극적으로 높아졌지만, 본받을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롤모델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저 화려한 조명을 받는 가수나 연기자, 스포츠 선수 등에 치중된 느낌이다. 여성의 리더십이란 Read more of this post

A Different Republic of Korea;A Harvard Ph.D.’s Views on Korea’s Potential (New book by Emanuel Pastreich)

A Different Republic of Korea

 that only Koreans don’t know

A Harvard Ph.D.’s Views on Korea’s Potential

한국인만모르는다른대한민국-표1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

버드 박사가 본 한국의 가능성”

이십일세기 북스 Read more of this post